IT 소스/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조건문(conditional)

한량이야기 2022. 3. 14. 13:20
반응형

비교 연산의 결과로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판명합니다.

조건문의 결과는 불린(boolean)으로 불린 올 수 있는 값은 참(true) 또는 거짓(false) 두가지 밖에 없습니다.

조건문의 결과에 따라 다른 함수를 실행하여 다르게 동작하게 만듭니다.

 

조건문의 종류

 

- if(), else if(), else, switch() 

  1) if(조건부)  :  조건문을 비교합니다.

  2) else if(조건부)  :  바로 위 조건문이 거짓이면 해당 조건문을 비교합니다.

  3) else  :  else는 위 조건문이 모두 거짓이면 무조건 해당 함수를 실행하여 조건부가 없습니다.  

사용 예)

var number = 80;

if(number == 60){  // false

  alert("number는 60입니다.");  // 조건문의 값이 false이므로 실행 안 함

} else if(number == 70) {  // false

  alert("number는 70입니다.");  // 조건문의 값이 false이므로 실행 안 함

} else if(number == 80) {  // true

  alert("number는 80입니다.");  // 조건문의 값이 true이므로 실행 

} else {

  alert("number 값이 없습니다.");

}

위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면 "number는 80입니다." 라는 문구가 출력 된 후에 if문은 종료 됩니다.

if문은 위에서 순서대로 조건문을 실행하면서 number 값과 80이라는 조건문은 만나 함수가 실행되고 if문이 종료됩니다.

만약 조건문에 80이 없으면 "number 값이 없습니다."가 출력 되고 if문은 종료 됩니다.

 

  4) switch(검사대상) : 검사대상과 case값이 맞으면 해당 case의 함수를 실행합니다.

사용 예)

var number = 80;

swiitch(number){

  case 60 :

    alert("number는 60입니다."); 

    break;

  case 70 :

    alert("number는 70입니다."); 

    break;

  case 80 :

    alert("number는 80입니다."); 

    break;

  default:

    alert("number 값이 없습니다."); 

    break;

}

위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면 "number는 80입니다." 라는 문구가 출력 된 후에 switch문은 종료 됩니다.

switch(검사대상)에 맞는 값 80의 case의 함수를 실행 후 break를 실행하여 switch()문이 종료 됩니다.

만약 break를 사용하지 않으면 해당 코드를 종료하지 않고 계속해서 case문을 확인하면서 의도하지 않은 함수가 실행 될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