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맞춤법 50

'앵간히' vs '엔간히' 신이 난 모양이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앵간히'와 '엔간히'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35%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앵간히'와 '엔간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엔간히'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엔간히'는 [엔간히]로 발음되는 부사로'대중으로 보아 정도가 표준에 꽤 가깝게.','보통에 가깝거나 그보다 약간 더하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엔간히'는 원형 '엔간'에 '-히'가 붙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그럼 '엔간히'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거짓말을 해도 ..

얼굴의 '부기' vs '붓기' 가 잘 안 빠진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부기'와 '붓기'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무려 43%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부기'와 '붓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부기'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부기'는 [부기]로 발음되는 명사로'부종(浮腫)으로 인하여 부은 상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학용어입니다. 그럼 '부기'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통증과 부기도 내리고 완전히 건강을 회복한 상태였다.2. 침을 맞으니 발목의 부기가 조금 빠졌다. 3. 산후 조리가 변변찮아 아직 ..

'원체' vs '원채' 성질이 순한 사람이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원체'와 '원채'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24%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원체'와 '원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원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원체'는 명사로 사용되면'으뜸이 되는 몸'이란 의미를 가지며부사로 사용되면'두드러지게 아주.','본디부터.'의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원체'의 보통 부사의 의미로 많이 사용되며유의어로는 '워낙'등이 있습니다. 그럼 '원체'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그는 원체 고리타분해 대면하기 ..

옷을 '갈가리' vs '갈갈이' 찢어버렸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갈가리'와 '갈갈이'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48%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갈가리'와 '갈갈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갈가리'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갈가리'은 [갈:가리]로 발음되는 부사로'여러 가닥으로 갈라지거나 찢어진 모양'의 의미를 가지는 '가리가리'의 준말입니다. 그럼 '갈가리'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밤의 대기가 총성으로 갈가리 찢기기 시작했다. 2. 그녀는 편지를 갈가리 찢어 휴지통에 넣었다. 3. 광풍에 머..

어디서 '덤테기' vs '덤터기' 씌워?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덤테기'와 '덤터기'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25%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덤테기'와 '덤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덤터기'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덤터기'는 [덤터기]로 발음되는 명사로'남에게 넘겨씌우거나 남에게서 넘겨받은 허물이나 걱정거리.','억울한 누명이나 오명.','남에게서 억지로 떠맡게 되는 억울한 누명이나 큰 걱정거리.'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덤터기'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엉뚱한 사람에게 덤터..

갑자기 '정나미' vs '정내미'가 뚝 떨어진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정나미'와 '정내미'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31%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정나미'와 '정내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정나미'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정나미'는 [정나미]로 발음되는 명사로 '어떤 대상에 대하여 애착을 느끼는 마음.',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하여 애착이 생기는 마음.'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나미'는 '뜻 정( 情 )' + '고유어(나미)'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그럼 '정나미'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

'데'와 '대'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데와 대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맞춤법 표기중 하나입니다. 그와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틀리기도 하는 맞춤법 이기도 합니다. 맞춤법 한나만 틀려도 그 의미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하게 사용하셔야 서로 오해 생길 일이 없습니다. 데와 대는 국립국어원 재정 맞춤법에서 한 문장의 끝을 맺을 때 사용하는 종결 어미의 역할을 합니다. 데와 대는 별 차이 없는 표현처럼 보이지만 상황에 따라 엄연히 다르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럼 데와 데는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데'는 '~다고 하더라' 의 줄임말로 쓰여 경험한 지난 일을 돌이켜 말할 때 사용하는 회상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입니다. 어떤 상황이나 특정한 경우 임의의 대상을..

'예삿일'과 '예사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예삿일'과 '예사일'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31%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예삿일'과 '예사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예삿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예삿일'은 [예:산닐]로 발음되는 명사로 '보통 흔히 있는 일.'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삿일'은 '범식 예(例)' + '일 사(事)' + '순우리말 일'의 합성어입니다. 사시시옷 규정에 의하면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이 나고 뒷말의 첫 소리가 ..

'사단'과 '사달'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발음은 명확하게 알고 있지만 표기 방법을 헷갈려하는 단어는 많았습니다. 하지만 오늘 알아볼 단어는 발음마저 헷갈리는 '사단'과 '사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사달'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사달'은 명사로 '사고나 탈' 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달'은 한자어 사탈(事頉)에서 음운 변화로 바뀐 단어입니다. 頉 : 기를 이, 아플 탈의 뜻을 가진 어려운 한자입니다. 그럼 '사달'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급한 성격 때문에 사달이 났다. 2. 오늘 이 사달이 생긴 이유는 신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3. 방심이 이런 사달을 가져왔다. 4. 일이 꺼림칙하게 되더만 결국 사달이 났다. 그럼 '사단'의 ..

'번번이'와 '번번히'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발음이 같아 헷갈리는 단어인 '번번이'와 '번번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 단어는 자주 사용하는데 표현으로 어떤 것이 맞는 표현인지 각각의 뜻과 사용되는 예문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번번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번번이'는 부사로 '매 때마다' 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 6장 그 밖의 것, 제 51항에 따르면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습니다.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는 '매번', '자주', '항상'등의 단어가 있습니다. 그럼 '번번이'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