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파일 압축, 해제하기 - tar (tape archive)
'tar'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tarball'이라고 하는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 수정 및 추출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tar'라는 이름은 'tape archive'를 의미합니다.
원래 테이프와 같은 순차 저장 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를
단일 아카이브 파일로 결합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압축할 수도 있습니다.
1. tar 기본 구문
tar 명령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tar [options] [archive-file] [file or directory to be archived]
options : 명령의 동작을 수정합니다.
archive-file : 생성, 추출 또는 조작하려는 아카이브 파일의 이름입니다.
file or directory to be archived : 아카이브에 포함하거나 아카이브에서 추출하려는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지정합니다.
2. tar 명령어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c | 새로운 아카이브를 만듭니다. |
-x | 아카이브에서 파일을 추출합니다. |
-v | 터미널에 작업 진행 상황을 상세하게 보여줍니다. |
-f | 생성하거나 추출할 아카이브 파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
-t | 압축을 풀지 않고 아카이브의 내용을 나열합니다. |
-z | gzip을 사용하여 아카이브를 압축 또는 압축 해제합니다. |
-j | bzip2를 사용하여 아카이브를 압축하거나 압축을 풉니다. |
-J | xz를 사용하여 아카이브를 압축 또는 압축 해제합니다. |
-C |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파일을 추출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r | 추가 파일을 기존 아카이브에 추가합니다. |
--delete | 파일을 아카이브에서 삭제합니다. 압축된 아카이브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
--exclude | 패턴에 따라 아카이브에서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제외합니다. |
-A | tar 파일을 기존 아카이브에 추가합니다. |
-u | 최신 버전의 파일로 아카이브를 업데이트합니다. |
--strip- components |
추출 시 파일 이름에서 지정된 수의 선행 구성요소를 제거합니다. |
3. tar 명령 사용 예
'tar' 명령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몇 가지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1. 아카이브 만들기
tar -cvf archive.tar /path/to/directory
'/path/to/directory'의 내용의 'archive.tar'라는 아카이브가 생성됩니다.
2. 아카이브 추출
tar -xvf archive.tar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 'archive.tar'의 내용을 추출합니다.
3. 아카이브 콘텐츠 나열
tar -tvf archive.tar
'archive.tar' 내부의 파일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4. gzip을 사용하여 압축된 아카이브 만들기
tar -czvf archive.tar.gz /path/to/directory
'archive.tar.gz'라는 이름의 'gzip 압축' 아카이브가 생성됩니다.
5. 아카이브에서 특정 파일 추출
tar -xvf archive.tar file.txt
archive.tar에서 file.txt를 추출합니다.
6. 아카이브 생성 시 디렉터리 제외
tar -cvf archive.tar /path/to/directory --exclude='/path/to/directory/exclude_this'
아카이브가 생성되지만 지정된 디렉터리는 제외됩니다.
만약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를
tar 아카이브로 압축하고 싶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ar -cvf archiveName.tar ./*
./는 현재 디렉터리를 의미하고
*는 모든 파일 및 디렉터리와 일치하는 와일드카드입니다.
[Linux]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의 양을 표시 - df (disk free)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Linux -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의 양을 표시 - df (disk free)'df' 명령어는 'disk free'의 약자로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디
hanryangitstory.tistory.com
'IT 소스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입력한 명령어 보기 - history (0) | 2024.08.27 |
---|---|
[Linux] 로그인 사용자 정보 표시 - who (0) | 2024.08.22 |
[Linux] 파일 권한 변경하기 - chmod (change mode) (0) | 2024.08.16 |
[Linux] 파일 소유권 변경하기 - chown (change owner) (0) | 2024.08.13 |
[Linux] 명령어를 특정 주기로 반복 실행 - watch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