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입력한 명령어 보기 - history
'history' 명령어는 사용자가 쉘 세션에서
입력한 명령 목록을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은 이전 명령을 불러오는 데 매우 유용하며,
특히 명령을 다시 입력하지 않고 반복하거나
수정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1. history 기본 구문
history 명령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history [options] [n]
options : 명령의 동작을 수정하는 선택적 플래그입니다.
n : 출력을 마지막 n 명령으로 제한하는 선택적 숫자입니다.
2. history 명령어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history | 현재 세션의 전체 명령 목록을 표시합니다. |
history n | 기록의 마지막 'n' 명령을 표시합니다. |
!n | 기록 목록에서 'n'번 명령을 다시 실행합니다. |
!! | 마지막으로 입력한 명령을 다시 실행합니다. |
!-n | 현재 명령 이전에 'n' 명령이었던 명령을 다시 실행합니다. |
history -c | 현재 세션의 기록 목록을 지웁니다. |
history -w | 현재 세션의 기록을 기록 파일(보통 .bash_history)에 씁니다. |
history -r | 기록 파일에서 기록을 읽고 이를 현재 세션 기록에 추가합니다. |
3. history 명령 사용 예
'history' 명령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몇 가지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1. 전체 명령 기록 보기
이 명령은 현재 쉘 세션에 입력된 모든 명령을 해당 번호와 함께 나열합니다.
2. 마지막 10개 명령 보기
이 명령은 기록에서 마지막 10개의 명령만 표시됩니다.
3. 마지막 명령을 다시 실행하기
이 명령은 가장 최근에 입력한 명령이 다시 실행됩니다.
여기서는 525번째 명령인 'history 10'이 실행되었습니다.
4. 명령 기록 지우기
현재 세션의 명령 기록이 지워집니다.
이는 기록 파일에서 명령을 제거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Linux] 명령어 매뉴얼 보기 - man(manual)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명령어 매뉴얼 보기 - man(manual)'man' 명령어는 'manual'의 약자로모든 명령의 사용자 매뉴얼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는 유틸리티입
hanryangitstory.tistory.com
'IT 소스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파일 및 디렉터리 검색하기 - find (4) | 2024.09.06 |
---|---|
[Linux] 로그인 사용자 정보 표시 - who (0) | 2024.08.22 |
[Linux] 파일 압축, 해제하기 - tar (tape archive) (0) | 2024.08.21 |
[Linux] 파일 권한 변경하기 - chmod (change mode) (0) | 2024.08.16 |
[Linux] 파일 소유권 변경하기 - chown (change owner)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