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취미우표 38

[기념우표] 꿀벌 (23. 05. 19)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꿀벌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 이상이 ‘꿀벌’의 수분으로 생산된다고 합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열심히 일하면서 식물의 번식과 농작물 생산에 공을 세우고 있는 꿀벌을 기념우표로 소개합니다. 벌목(Hymenoptera) 꿀벌과(Apidae)에 속하는 꿀벌은 수많은 곤충 중에서도 꽃가루를 직접 날라 식물의 수분과 작물 생산을 돕는 ‘화분매개자’입니다. 꿀벌은 정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온몸에 꽃가루를 묻히고 이를 경단으로 만들어 뒷다리에 붙입니다. 뒷다리에는 긴 털이 촘촘하게 나 있어 꿀이나 꽃가루가 잘 묻는 ‘꽃가루 바구니’가 있습니다. 꿀벌은 이 꽃 저 꽃으로 날아다니며 바구니에 ..

대한민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23.04.07)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대한민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2022년 12월, 대한민국은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KPLO)’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며 우주 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 7번째 달 탐사 국가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한 다누리의 성공을 축하하며 우정사업본부는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한국의 달 탐사 계획은 2007년 우주개발사업 세부 실천 로드맵에 처음 명시되었습니다.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6년, 다누리 개발에 착수하였습니다. 다누리의 길이는 태양전지판을 전개하였을 때 6.3m 정도이며 발사 시 무게는 약 678㎏입니다. ‘다누리’라는 명칭은 2022년 1월 26일부..

십장생도 병풍 (23.03.30)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십장생도 병풍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고 싶은 인간의 욕망은 동아시아에서 독특한 상징과 문화로 발달했고, 이는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특히 불로장생을 뜻하는 10종류의 자연물을 가리켜 한국에서는 ‘십장생’이라 하는데, 이러한 십장생은 다양한 수공예품과 생활 도구에도 표현되어 지금까지 전해집니다. 이번 기념우표에서는 삼성그룹 고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십장생도 병풍’을 소개합니다.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십장생은 주로 해, 산, 물, 돌, 소나무, 대나무, 구름, 영지, 거북, 학, 사슴 등의 10가지 내외의 자연물을 일컫습니다. 이 병풍에는 십장생에 신선 세계의 복숭아 ‘반도(蟠桃)’까지 더하여 화폭이 더욱 풍성합니다...

한국의 창작 뮤지컬 (23.03.24)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한국의 창작 뮤지컬 극단 중심으로 제작되던 한국 뮤지컬은 2000년대부터 뮤지컬 전문 제작사와 프로듀서들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이후 국민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문화예술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국내 창작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해외에 진출하는 작품도 늘어나 국내외 팬들의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번 기념우표에서는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한국의 창작 뮤지컬 4편을 소개합니다. 2006년에 초연한 〈김종욱 찾기〉는 고객에게 첫사랑 ‘김종욱’을 찾아주는 로맨틱 코미디입니다. ‘첫사랑’이라는 보편적인 소재가 많은 관객의 공감을 일으켰고, 수많은 스타를 배출하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인정받았습니다. 한국 창작 뮤지컬 최초로 중국에 라..

누리호 발사 성공 (22.12.16)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나라는 1992년에 국내 첫 인공위성 ‘우리 별 1호’로 우주를 향한 도전을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30년이 지난 2022년 6월, 독자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누리호) 발사에 성공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이 마침내 우주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누리호 발사 성공을 축하하며 우정사업본부는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누리호는 지상으로부터 600~800km 높이의 우주궤도에 1.5톤(t)급 인공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성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로 2010년부터 개발되었습니다. 공모전을 통해 선정한 ‘누리’라는 명칭은 ’세상‘의 옛말로 “우주로까지 확장된 새로운 세상을 연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누리호는 총중량 200t(탑재 중량 150..

연하우표 (22.12.01)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2023년은 육십갑자 중 40번째인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입니다. 토끼는 온순하고 꾀가 많아 지혜를 상징하는 동물로 여겨지며, 새끼를 많이 낳는 토끼의 번식력은 풍요로움을 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토끼의 해를 맞아 다산과 다복, 지혜의 표상인 토끼를 주제로 연하우표를 발행합니다. 크고 동그란 눈, 길쭉한 귀를 가진 토끼는 순하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로 동화나 동요에 자주 등장하여 친숙한 동물입니다. 민담과 우화에서도 만날 수 있는데, 이야기 속 토끼는 대부분 꾀가 많고 영리한 동물로 묘사되곤 합니다. 〈삼국사기〉에는 신라의 김춘추가 군사를 요청하러 고구려에 갔다가 염탐꾼으로 몰렸지만, 토끼와 거북이 설화를 이용해 목숨을 건졌다는 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처용무 (22.11.18)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한국의 전통 무용 ‘처용무’는 궁중 연례에서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평온을 기원하기 위해서나 음력 섣달그믐날 악귀를 쫓는 의식인 나례(儺禮)에서 복을 구할 때 춘 춤입니다. 동해 용왕의 아들이자 사람 형상을 한 ‘처용’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어 천연두를 옮기는 역신으로부터 백성들을 구해냈다는 한국 설화를 바탕으로 합니다. 우정사업본부는 질병으로 지친 국민의 안녕과 회복을 기원하기 위해, 2009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처용무를 주제로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처용의 가면을 쓰고 추는 처용무는 〈삼국유사〉에 실린 신라 제49대 헌강왕 때의 처용설화를 토대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궁중무용입니다. 용의 아들인 처용이 밤늦게 귀가하다 방에 ..

채소꽃 (22.11.11)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한국인의 밥상에서 채소는 빼놓을 수 없는 음식 재료입니다. 육류와 곡물만으로는 부족한 비타민과 무기질, 섬유질 등의 영양소를 채소를 통해 얻을 수 있고, 일부 채소는 물에 씻어 날것으로 먹어도 좋은 반찬이 됩니다. 이처럼 채소는 유용하고 익숙한 식재료이지만, 채소가 맺는 꽃의 생김새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기념우표를 통해 잎이나 열매로 친숙한 채소들이 어떤 꽃을 피우는지 소개하고자 합니다. 유라시아 원산의 뿌리채소인 ‘우엉’은 먹을 수 있는 부분이 땅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토질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식물입니다. 줄기의 높이는 50~150㎝에 달하며, 뿌리는 30~60㎝ 정도로 곧게 자랍니다. 국화과에 속하는 우엉은 줄기 끝에 검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