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79

[기념우표] 다시 찾은 소중한 문화유산 - (25.01.24)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기념우표 - 다시 찾은 소중한 문화유산  과거 도난이나 약탈, 거래, 선물 등 다양한 이유로 우리 땅을 떠나 있는 문화유산을 ‘국외소재문화유산’이라고 합니다. 2024년 1월 1일 기준, 약 24만여 점에 이르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세계 29개국 801곳의 박물관과 미술관 등에 흩어져 있습니다. 국가유산청은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과 협력해 국외소재문화유산의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고, 중요한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을 국내로 되찾기 위한 환수 활동을 추진 중입니다. 2022년부터는 복권기금을 활용하여 국외소재문화유산의 환수를 추진하고 있습니다.[주미대한제국공사관]은 고종이 하사한 내탕금으로 사들였던 미국 워싱턴 D.C. 소재의 건물입니다. 1889년 ..

2025년도 기념우표 및 일반우표 발행일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2025년도 기념우표, 일반우표 발행일정2025년에는 21건 63종의 우표 발행 계획이 있습니다.구분발행일발행내역종수비고11.24 (금)다시 찾은 소중한 문화유산4 22.20 (목)한국형 잠수함1 33.7 (금) 화훼도 병풍10 43.20 (목) 제주도 오름2 54.4 (금) 보문관광단지 지정 50주년1 64.18 (금) 근대 공예가3 75.8 (목) 사랑스러운 아기4 85.30 (금) 해양보호생물4 96.5 (목) 세계 환경의 날1 106.27 (금) 한국의 고속철도5 117.9 (수) 국제 멸종위기 야생동물(CITES)4 127.25 (금) 궁중채화2 138.14 (목) 광복 80주년1 148.29 (금) 국가유산 야행2 159.17 (수) K-디..

[기념우표] 연하우표 - (24.12.02)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기념우표 - 연하우표  2025년은 육십갑자 중 42번째에 해당하는 '을사년(乙巳年)', 푸른 뱀의 해입니다. 예로부터 뱀은 도전에 앞서 신중하고 기민한 동물로 여겨져 왔으며, 십이지신 중 가장 지혜롭고 주변 환경에 능수능란하게 대응한다고 알려졌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뱀의 해를 맞아 지혜와 변화의 상징인 뱀을 주제로 연하 우표를 발행합니다.꿈속에 나타나는 뱀은 흔히 재물과 행운, 치유와 풍요를 상징하는 길몽으로 여겨집니다. 물론 간사함이나 배신을 뜻하는 부정적인 의미로도 해석되기도 하지만, 동양에서는 십이지신 중 하나로 존중받으며, 종종 상서로운 존재로 인식되어 집과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여겨졌습니다. 이와 더불어, 뱀을 보며 '영생불사(永生不死..

[기념우표] 민속놀이 - (24.11.14)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기념우표 - 민속놀이  수천 년의 시간 동안 이어 내려온 한국의 민속놀이에는 많은 매력과 다양한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연날리기와 썰매 타기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오랫동안 즐거움을 선사해 왔습니다. 하늘로 솟아 오르는 연을 날리는 놀이와 빙판 위를 질주하는 썰매 타기는 조상들의 지혜와 정서가 담긴 소중한 민속놀이입니다.  '연날리기'는 종이에 가는 대나무 살을 붙여 실을 연결한 뒤 바람을 이용해 하늘에 띄우고 노는 민속놀이입니다.에 따르면, 신라 시대 김유신 장군이 연을 이용하여 별이 하늘로 올라가는 모습을 연출해 군사들의 사기를 높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로 보아 연은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다 이후 민간 놀이로 발전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념우표] 국토지리정보원 창립 50주년 - (24.11.01)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기념우표 - 국토지리정보원 창립 50주년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이한 국토지리정보원은 우리나라 국토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고, 다양한 형태의 지도를 제작하며, 대규모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국가기관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1958년에 국방부 지리연구소 소속 기관으로서 전쟁으로 훼손된 기준점의 복구와 민수용 지도 제작 위한 준비 작업을 추진하다가 1974년 11월 1일에 건설부 소속의 국립지리원으로 창설되면서 비로소 측량과 지도 제작 등의 역할을 맡기 시작했습니다. 지난 반세기 동안 국토지리정보원이 제공한 공간정보는 경부고속도로 건설과 같은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건설의 기초 자료부터 재난 재해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

[기념우표] 안동 - (24.10.18)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기념우표 - 안동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한 안동은 서울의 한강처럼 낙동강이 도심 한복판을 가로질러 흐르는 수변 도시로 전국의 시 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은 도시입니다. 안동은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릴 만큼 시대별 다양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으며 특히 3개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1개의 세계기록유산, 1개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유교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 사업을 추진하는 데 강점이 있어 2020년 지역관광거점도시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하회마을은 안동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서 고택과 서원, 정자와 정사 등 전통 건축물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같은 건축물과 함께 세시풍속, 관혼상제 등 무형유산이 세대를 이어 전승되고 ..

[기념우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24.09.27)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기념우표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한산 모시짜기'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의 전통 모시 직조 기술로 2011년 11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여름철 대표 직물인 모시의 재료가 되는 모시풀은 여름철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아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잘 자라는 풀입니다. 모시풀을 옷감으로 만든 것은 삼국시대부터로, 모시 제작은 약 1,500여 년간 이어져 왔습니다. 모시는 생육 환경이 까다로워 충청도와 전라도 일부 지역에서 생산되었는데 특히 한산면의 세모시가 품질이 좋고 제직 기술이 뛰어나기로 유명합니다. 한산은 서해와 금강을 끼고 있어 습도가 높고 기후가 온난하여 모시풀이 자라기 좋은 환경을 지닌 지역입니다.한산 모시를 제작하는..

'앵간히' vs '엔간히' 신이 난 모양이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앵간히'와 '엔간히'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35%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앵간히'와 '엔간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엔간히'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엔간히'는 [엔간히]로 발음되는 부사로'대중으로 보아 정도가 표준에 꽤 가깝게.','보통에 가깝거나 그보다 약간 더하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엔간히'는 원형 '엔간'에 '-히'가 붙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그럼 '엔간히'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거짓말을 해도 ..

[Linux] 파일 및 디렉터리 검색하기 - find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파일 및 디렉터리 검색하기 - find 'find' 명령어는 이름, 유형, 크기, 수정 날짜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을 기반으로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 및 디렉터리를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는 매우 다재다능하며 다른 명령과 결합하여 복잡한 파일 검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find 기본 구문'find' 명령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find [starting directory] [criteria] [actions] starting directory : 검색을 시작할 디렉터리를 지정합니다. 현재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절대 경로, 상대 경로 또는 닷(.) 일 수도 있습니다.예 : /home/user/docu..

IT 소스/Linux 2024.09.06

얼굴의 '부기' vs '붓기' 가 잘 안 빠진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부기'와 '붓기'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무려 43%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부기'와 '붓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부기'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부기'는 [부기]로 발음되는 명사로'부종(浮腫)으로 인하여 부은 상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학용어입니다. 그럼 '부기'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통증과 부기도 내리고 완전히 건강을 회복한 상태였다.2. 침을 맞으니 발목의 부기가 조금 빠졌다. 3. 산후 조리가 변변찮아 아직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