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84

[기념우표] 안동 - (24.10.18)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기념우표 - 안동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한 안동은 서울의 한강처럼 낙동강이 도심 한복판을 가로질러 흐르는 수변 도시로 전국의 시 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은 도시입니다. 안동은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릴 만큼 시대별 다양한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으며 특히 3개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1개의 세계기록유산, 1개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유교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 사업을 추진하는 데 강점이 있어 2020년 지역관광거점도시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하회마을은 안동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서 고택과 서원, 정자와 정사 등 전통 건축물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같은 건축물과 함께 세시풍속, 관혼상제 등 무형유산이 세대를 이어 전승되고 ..

[기념우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24.09.27)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기념우표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한산 모시짜기'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의 전통 모시 직조 기술로 2011년 11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여름철 대표 직물인 모시의 재료가 되는 모시풀은 여름철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아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잘 자라는 풀입니다. 모시풀을 옷감으로 만든 것은 삼국시대부터로, 모시 제작은 약 1,500여 년간 이어져 왔습니다. 모시는 생육 환경이 까다로워 충청도와 전라도 일부 지역에서 생산되었는데 특히 한산면의 세모시가 품질이 좋고 제직 기술이 뛰어나기로 유명합니다. 한산은 서해와 금강을 끼고 있어 습도가 높고 기후가 온난하여 모시풀이 자라기 좋은 환경을 지닌 지역입니다.한산 모시를 제작하는..

'앵간히' vs '엔간히' 신이 난 모양이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앵간히'와 '엔간히'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35%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앵간히'와 '엔간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엔간히'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엔간히'는 [엔간히]로 발음되는 부사로'대중으로 보아 정도가 표준에 꽤 가깝게.','보통에 가깝거나 그보다 약간 더하게.'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엔간히'는 원형 '엔간'에 '-히'가 붙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그럼 '엔간히'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거짓말을 해도 ..

[Linux] 파일 및 디렉터리 검색하기 - find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파일 및 디렉터리 검색하기 - find 'find' 명령어는 이름, 유형, 크기, 수정 날짜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을 기반으로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 및 디렉터리를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는 매우 다재다능하며 다른 명령과 결합하여 복잡한 파일 검색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find 기본 구문'find' 명령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find [starting directory] [criteria] [actions] starting directory : 검색을 시작할 디렉터리를 지정합니다. 현재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절대 경로, 상대 경로 또는 닷(.) 일 수도 있습니다.예 : /home/user/docu..

IT 소스/Linux 2024.09.06

얼굴의 '부기' vs '붓기' 가 잘 안 빠진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부기'와 '붓기'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무려 43%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부기'와 '붓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부기'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부기'는 [부기]로 발음되는 명사로'부종(浮腫)으로 인하여 부은 상태'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학용어입니다. 그럼 '부기'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1. 통증과 부기도 내리고 완전히 건강을 회복한 상태였다.2. 침을 맞으니 발목의 부기가 조금 빠졌다. 3. 산후 조리가 변변찮아 아직 ..

[기념우표] 궁중채화 - (24.09.03)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기념우표 - 궁중채화  채화(綵花)는 조선시대 궁중의 각종 연회를 장식했던 종이, 비단 등으로 만든 조화(造花)를 말합니다. 생화를 쓰지 않고 채화를 만들어 쓴 이유는 살아 있는 꽃을 꺾지 않고자 하는 생명 존중의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또한 채화에는 시들지 않는 꽃으로 왕조의 영원불멸을 염원하는 의도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궁중채화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고려 때는 궁중에 소속된 장인들이 궁중채화를 제작했고, 연회에 참석한 외빈에게 왕이 직접 꽃을 하사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고종정해진찬의궤], [고종임인진연의궤] 등 여러 의궤에 채화를 만드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채화는 궁궐의 큰 행사나 외국 사..

[Linux] 입력한 명령어 보기 - history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입력한 명령어 보기 - history 'history' 명령어는 사용자가 쉘 세션에서 입력한 명령 목록을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은 이전 명령을 불러오는 데 매우 유용하며, 특히 명령을 다시 입력하지 않고 반복하거나 수정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1. history 기본 구문history 명령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history [options] [n]  options : 명령의 동작을 수정하는 선택적 플래그입니다.n : 출력을 마지막 n 명령으로 제한하는 선택적 숫자입니다. 2. history 명령어 주요 옵션옵션설명 history 현재 세션의 전체 명령 목록을 표시합니다. history n 기록의 마지막 'n'..

IT 소스/Linux 2024.08.27

[Linux] 로그인 사용자 정보 표시 - who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로그인 사용자 정보 표시 - who 'who'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사용자 이름, 터미널 라인, 로그인 시간 등과 같은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명령은 시스템 관리자가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서 사용자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 1. who 기본 구문who 명령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who [options]  options : 명령의 동작을 수정합니다.  2. who 명령어 주요 옵션옵션설명-a다양한 옵션의 출력을 결합하여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표시합니다.-b마지막 시스템 부팅 시간을 표시합니다.-d죽은 프로세스(프로세스 테이블에 죽은 것으로 표시된 프..

IT 소스/Linux 2024.08.22

[Linux] 파일 압축, 해제하기 - tar (tape archive)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파일 압축, 해제하기 - tar (tape archive) 'tar'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tarball'이라고 하는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 수정 및 추출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tar'라는 이름은 'tape archive'를 의미합니다. 원래 테이프와 같은 순차 저장 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여러 파일과 디렉터리를 단일 아카이브 파일로 결합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압축할 수도 있습니다. 1. tar 기본 구문tar 명령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tar [options] [archive-file] [file or directory to be arc..

IT 소스/Linux 2024.08.21

[Linux] 파일 권한 변경하기 - chmod (change mode)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Linux - 파일 권한 변경하기 - chmod (change mode)'chmod' 명령어는 'change mode'의 약자로시스템에서 디렉터리와 파일의 권한을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입니다. 권한은 소유자, 그룹, 기타 등으로 줄 수 있으며  각 권한에 읽기, 쓰기, 실행 등의 작업 유형으로 표시됩니다.  1. chmod 기본 구문chmod [OPTIONS] MODE FILE... MODE : 적용하려는 권한 설정으로, 기호 또는 숫자 형식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FILE : 권한이 변경되는 디렉터리 또는 파일입니다.OPTIONS : 명령의 동작을 수정하기 위한 추가 플래그입니다. 2. chmod 표기법의 이해기호 표기법에서는 문자와 기호를 ..

IT 소스/Linux 2024.08.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