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닫치다'와 '닫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한량이야기 2023. 2. 10. 09:19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중 발음도 비슷하고

의미도 비슷해서 더욱 헷갈리는 단어인

'닫치다'와 '닫히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닫치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닫치다'는 [닫치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열린 문짝, 뚜껑, 서랍 따위를 꼭꼭 또는 세게 닫다.',

'입을 굳게 다물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닫치다'는 '닫-'에 강세 접미사 '-치-'가 결합한 단어로

'닫다'의 힘준말입니다.

 

그럼 '닫치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는 화가 나서 문을 탁 닫치고 나갔다.

2. 말을 하고 싶었지만 그만 입을 닫친다.

3. 상황이 불리해지자 입을 닫쳐 버렸다.

4. 화가 나서 서랍을 닫치고 일어났다.

 

그럼 '닫히다'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닫히다'는 [다치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열린 문짝, 뚜껑, 서랍 따위가 도로 제자리로 가 막히다.',

'하루의 영업이 끝나다.',

'굳게 다물어지다.'

'닫다'의 피동사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닫히다'는 '닫-'에 피동 접미사 '-히-'가 결합한 단어로

'닫다'의 피동사입니다.

 

그럼 '닫히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바람에 창문이 덜컹 닫히다.

2. 병뚜껑이 너무 꼭 닫혀서 열 수가 없다.

3. 그는 근심이 많은지 입이 굳게 닫혔다.

4. 지금은 은행문이 닫혀 있을 시간이다.

 

 

'닫치다'와 '닫히다'를 쉽게 구분하는 법!

'닫치다'와 '닫히다'는 모두 닫다를 어근으로

만들어진 단어들입니다.

능동의 의미로 사용되면 닫치다.

피동의 의미로 사용되면 닫히다.

 

두번째 방법은 '닫치다'와 '닫히다' 자리에

'닫다'로 바꾸었을 때 강약의 느낌 차이

있고 그 의미가 변하지 않는다

'닫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지금까지 '닫치다'와 '닫히다'의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