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반듯이'와 '반드시'는 발음은 같지만 표기가 달라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반듯이'와 '반드시'는 모두 맞는 표기지만 그 뜻은 완전히 다릅니다.
그럼 '반듯이'와 '반드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반듯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한글맞춤법 제25항 ‘-하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는 경우
그 어근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고 돼 있습니다.
형용사 ‘반듯하다’의 ‘반듯’에 ‘-이’가 붙어 원형을 밝히어 ‘반듯이’로 적는다.
그럼 '반듯이'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허리를 반듯이 펴고 않아야 한다.
2. 선을 따라 반듯이 걸어가 보세요.
3. 군인이 모자를 반듯이 고쳐 쓴 뒤 경례를 했다.
그럼 '반드시'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반드시'로 적은 것은 '반듯하다'와 의미적으로 관련이 없기 때문에
어근의 원형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습니다.
그럼 '반드시'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마지막 퇴실자는 반드시 소등해 주세요.
2. 안전장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작업해야 합니다.
3. 약속은 반드시 지키야 한다.
'반듯이'와 '반드시' 쉽게 기억하는 방법
그래도 ‘반듯이’와 ‘반드시’가 헷갈린다면
‘반듯하게’로 바꾸었을 때 의미가 통하면 ‘반듯이’ 아니면
'꼭'으로 바꾸었을 때 의미가 통하면 '반드시'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지금까지 '반듯이'와 '반드시'의 뜻을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직장인 > 알쏭달쏭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르치다'와 '가리키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09.30 |
---|---|
'왠지'와 '웬지'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0) | 2022.09.15 |
'어떻게'와 '어떡해' 어떤 차이가 있을까? (1) | 2022.09.08 |
'힘듬'과 '힘듦' 어떤게 맞는표현일까? (1) | 2022.09.03 |
'심란'과 '심난'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