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가르치다'와 '가리키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한량이야기 2022. 9. 30. 01:4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가르치다'와 '가리키다'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비슷하게 생기고 발음도 비슷해서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고 

 

대중매체에서도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그 뜻을 알면 정말 구분하기 쉬운 단어이기도 합니다. 

 

먼저 '가르치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가르치다'의 사전적 의미는 지식이나 기능, 이치 따위를 깨닫거나 익히게 한다.

즉, '가르치다'는 학습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그릇된 버릇 따위를 고치어 바로 잡다.'

'교육 기관에 보내 교육을 받게 하다.'라는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그럼 '가르치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저는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2. 아이에게 예절교육을 가르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3. 나 이번 문제 좀 가르쳐줘

 

그럼 '가리키다'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가리키다'는 손가락 따위로 어떤 방향이나 대상을 짚에서 보이거나 말하거나 알리다.

즉, '가리키다'는 방향이나 대상을 나타냅니다.

또한, '어떤 대상을 특별히 집어서 두드러지게 나타내다.'의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가리키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녀는 예쁜 강아지가 있는 곳을 가리키고 있었다.

2. 손가락으로 저쪽을 가리켰다.

3. 아들이 장난감 자동차를 가리키며 사달라고 때를 썼다.

 

 

그럼 '가르키다'는 무슨 뜻이지??

'가르키다'는 어법에 없는 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르치다'와 '가리키다'를 헷갈려서 사용하다 보니

두 단어가 섞인 '가르키다'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이것 좀 가르켜줘, 저쪽 좀 가르켜봐'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데

'가르쳐줘' '가리켜봐'가 맞는 표현입니다. 

 

지금까지 '가르치다'와 '가리키다'의 뜻과 맞춤법을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