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량스토리 380

[jQuery] .first() - 첫 번째 요소 선택하기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jQuery의 .first() 사용법 first() 함수는 선택한 요소 집합에서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선택한 요소 집합 중에서 첫 번째 요소를 반환하므로, 주어진 선택자에 일치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첫 번째 요소만 선택하여 작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간단한 예제로 버튼을 클릭 시 first() 함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봅시다. 첫 번째 아이템 두 번째 아이템 세 번째 아이템 첫 요소 선택하기 위의 예시에서는 클래스가 'item'인 요소들 중에서 first() 함수를 사용하여 첫 번째 요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첫 번째 요소의 배경색을 .css() 함수를 사용해서 변경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IT 소스/jQuery 2024.03.07

[MariaDB] VARIANCE - 분산 함수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MariaDB의 분산 함수 - VARIANCE() VARIANCE() 함수는 통계 함수 중 하나로 주어진 데이터의 분산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분산'은 데이터의 흩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통계적 지표로, 값들이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작은 분산은 데이터가 평균 주위에 모여 있음을 나타내며, 데이터의 분포가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큰 분산은 데이터가 평균에서 멀리 흩어져 있음을 나타내며, 데이터의 분포가 불규칙하고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문 테이블을 가지고 분산 함수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테이블 생성 쿼리 CREATE TABLE employees ( employee_id INT AUTO..

IT 소스/MariaDB 2024.03.07

[MariaDB] STDDEV - 표준 편차 함수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MariaDB의 표준 편차 함수 - STDDEV() STDDEV()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표준 편차를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표준 편차'는 데이터의 분포를 나타내는 통계적 측정 지표입니다. 표준 편차가 작을수록 데이터의 값들이 평균 주위에 모여 있으며, 데이터의 분포가 일정합니다. 반대로, 표준 편차가 클수록 데이터의 값들이 평균 주위에 흩어져 있으며, 데이터의 분포가 불규칙하고 다양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분포를 시각화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문 테이블을 가지고 표준 편차 함수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테이블 생성 쿼리 CREATE TABLE customers ( customer_id INT AUTO_INCREMENT..

IT 소스/MariaDB 2024.03.04

[기념우표] 한국의 창작 뮤지컬 (24.03.07)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기념우표 - 한국의 창작 뮤지컬 과거에는 내한 공연이나 라이선스 뮤지컬이 흥행했으나 최근에는 한국의 창작 뮤지컬이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 인정받은 작품들 가운데 해외로 진출해 'K-뮤지컬' 성공 사례로 기록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이번 기념우표에서는 높은 완성도와 더불어 흥행에도 성공한 한국의 창작 뮤지컬 4편을 소개합니다. 한국의 창작 뮤지컬 대작으로 꼽히는 '프랑켄슈타인'은 1818년에 출간된 메리 셀리의 동명 소설을 각색한 작품입니다. 신이 되려고 했던 인간과 인간을 동경했던 피조물 간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이기심과 생명의 본질을 되짚게 합니다. 2014년 초연 당시 더뮤지컬어워즈에서 9개 부문을 수상한 이후, 매 시..

[jQuery] .parseXML() - XML 데이터를 JavaScript 객체로 변환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jQuery의 .parseXML() 사용법 parseXML() 함수는 jQuery에서 제공하는 유틸리티 함수 중 하나로, XML 문자열을 파싱하여 JavaScript 객체로 변환합니다. XML은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구조화하여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형식으로, 종종 서버로부터 XML 형식의 데이터를 받아와야 할 때가 있습니다. 서버로부터 받은 XML 데이터를 파싱하여 XML 문서 객체로 변환할 수 있으며, 해당 객체의 속성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당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제로 버튼을 클릭 시 parseXML() 함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봅시다. XML 파싱 예제 John 30 New York XML..

IT 소스/jQuery 2024.03.01

창살 없는 감옥에 '갇혀' vs '갖혀' 있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 중 하나인 '갇혀'와 '갖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뉴스를 보면 '갇혀'와 '갖혀'를 모두 사용하였습니다. 둘 중 어느 것이 올바른 맞춤법으로 뉴스를 작성했을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갇혀'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갇혀'는 동사 '갇히다'의 활용어로 '사람이나 동물이 벽으로 둘러싸이거나 울타리가 있는 일정한 장소에 넣어져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되다.', '어떤 공간이나 상황에 있게 되다.', '어디에 넣어져 마음대로 나들지 못하게 되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갇히다'의 어원 '갇히다'의 옛말인 ..

[jQuery] .parseJSON() - JSON 문자열을 JavaScript 객체로 변환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jQuery의 .parseJSON() 사용법 parseJSON() 함수는 jQuery에서 제공하는 유틸리티 함수 중 하나로, JSON 문자열을 파싱하여 JavaScript 객체로 변환합니다.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경량의 데이터 형식으로 JavaScript의 객체 표기법과 매우 유사합니다. 따라서 JSON 데이터를 JavaScript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파싱하여 JavaScript 객체로 변환해야 합니다. 서버로부터 받은 JSON 형식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JavaScript 객체로 변환하고, 해당 객체의 속성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당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등의 ..

IT 소스/jQuery 2024.02.29

이제는 현실을 '받아들일' vs '받아드릴' 수 있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받아들일'과 '받아드릴'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30%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받아들일'과 '받아드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받아들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받아들일'은 동사 '받아-들이다'의 활용어로 '사람들에게서 돈이나 물건 따위를 거두어 받다.', '다른 문화, 문물을 받아서 자기 것으로 되게 하다.', '다른 사람의 요구, 성의, 말 따위를 들어주다.', '조직체나 가정 따위에서 어떤 사람을 구성원으로 들어오게 하다.', '어떤 사실 따위를 인..

[jQuery] .parent() - 부모 요소를 선택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jQuery의 .parent() 사용법 parent() 함수는 jQuery에서 제공하는 함수 중 하나로, 선택한 요소의 부모 요소를 선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함수를 사용하면 선택한 요소의 직계 부모 요소를 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제로 버튼을 클릭 시 parent() 함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봅시다. 여기는 부모 요소 이것은 자식 요소입니다. 부모 요소 선택하기 parent() 함수를 사용하여 'childElement'의 부모 요소를 선택하고, 선택한 부모 요소에 .css() 함수를 사용하여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따라서 'childElement'의 부모 요소인 'parentElement'에 빨간색 테두리가 적용됩니다.

IT 소스/jQuery 2024.02.27

국수가 '불으면' vs '불면' 맛이 없어!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불으면'과 '불면'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55%나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불으면'과 '불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불으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불으면'는 동사 '붇다'의 활용어로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 '(주로 '몸'을 주어로 하여) 살이 찌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왜 '불으면'으로 사용하는 걸까? '붇다'의 어간은 '붇-'이고, 'ㄹ'이 아닌 받침으로 끝나니까 '붇' + '으면'으로 활용됩니다.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