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국수가 '불으면' vs '불면' 맛이 없어! 올바른 맞춤법은?

한량이야기 2024. 2. 27. 16:09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불으면' vs '불면'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불으면'과 '불면'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55%나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출처 - 네이버 맞춤법 퀴즈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불으면'과 '불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불으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불으면' 설명

'불으면'는 동사 '붇다'의 활용어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

'(주로 '몸'을 주어로 하여) 살이 찌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왜 '불으면'으로 사용하는 걸까?

'붇다'의 어간은 '붇-'이고, 'ㄹ'이 아닌 받침으로 끝나니까 '붇' + '으면'으로 활용됩니다.

이때 어간의 받침 'ㄷ'이 'ㄹ'로 바뀌는 불규칙 활용이 일어나서 '불으면'이 됩니다.

어간의 받침 'ㄷ'이 변해서 'ㄹ'이 될 때에는 매개모음 '으'가 탈락하지 않습니다.

 

간단요약 

받침이 없으면 '-면'을 사용

예) 가다 -> 가면, 치다 -> 치면, 켜다 -> 켜면 

받침이 있으면 '-으면'을 사용

예) 먹다 -> 먹으면, 앉다 -> 앉으면, 끓다 -> 끓으면

* 예외로 받침이 'ㄹ'일 경우 '-면'을 사용

예) 살다 -> 살면, 줄다 -> 줄면, 울다 -> 울면

 

그럼 '불으면'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북어포가 물에 불어 부드러워졌다.
2. 배달이 늦어져서 자장면이 불었다.

3. 비가 많이 와서 개울물이 불었다.

4. 식용이 왕성하여 몸이 많이 불었다.

 

그럼 '불면'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불면' 설명

'불면'는 [불면]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면할 수 없거나 면하지 못함.',

'잠을 자지 못함 또는 잠을 자지 아니함.'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불으면'과 '불면'의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굳은살이 '박이다' vs '박히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박

hanryangitstory.tistory.com

 

'승낙'과 '승락'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승

hanryangit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