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책을 읽다 밤을 '새우다.' vs '새다.' 올바른 맞춤법은?

한량이야기 2024. 5. 14. 19:49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새우다' 와 '새다' 올바른 맞춤법은?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새우다'와 '새다'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46%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출처 - 네이버 맞춤법 퀴즈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새우다'와 '새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새우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새우다' 설명

'새우다'는 [새우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한숨도 자지 아니하고 밤을 지내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새우다'의 어원을 살펴보면

'새우다'의 어원은 '새아다월석>←-+--'로 

현대 국어 '새우다'의 옛말인 '새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납니다.

이 단어는 '새-'에 사동 접사일 가능성이 있는 '-우-'가 결합한 것인데

'새오다'는 '-우-' 대신에 동일한 계열의 '-오-'가 결합한 것입니다.

현대 국어에서 '-우-'가 붙은 단어는 역사적으로는 '-오-'로 표기되는 것이

더 우세한데 '새우다'의 경우도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그럼 '새우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며칠 밥을 새우다 보니 너무 피곤했다. 
2. 그녀는 졸업 작품 때문에 며칠 밤을 뜬눈으로 새웠다.

3. 초상집에서 밤을 새우다.

4. 어릴적 친구를 만나 밤을 새워 이야기를 했다.

 

그럼 '새다'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새다' 설명

'새다'는 [새: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날이 밝아 오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새다'는 자동사이므로 목적어를 가질 수가 없음!!

따라서 '새우다'로 써야 올바른 맞춤법입니다.

 

지금까지 '새우다'와 '새다'의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새다'와 '세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글로 쓰면 그 뜻이 완전히 달라지는 단어인 '새다'와 '세다'는 그 뜻도 정말 여러

hanryangitstory.tistory.com

 

'붙이고' vs '부치고'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붙

hanryangit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