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맞히다'와 '맞추다' 어떤 의미일까?

한량이야기 2022. 10. 7. 02:11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언뜻 들으면 비슷한 발음인

 

'맞히다'와 '맞추다'의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 단어는 그 의미도 비슷한 듯보여서 더욱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그 뜻을 알면 정말 구분하기 쉬운 단어이기도 합니다. 

 

먼저 '맞히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사로써

1. 문제의 답이 틀리지 아니하다.

2. 좋지 않을 일을 당하다.

3. 자연 현상에 따라 내리는 눈, 비 따위의 닿음을 받다.

4. 쏘거나 던지거나 한 물체가 어떤 물체에 닿다.

5. 침이나 주사 따위로 주사를 받다.

등의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정답'과 관련된 뜻 이외에 '물리적, 추상적으로 어떤 것에 닿음'

또는 '어떤 것을 받음', '적중하다'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럼 '맞히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열 문제 중 반절 이상 맞히면 합격이야. 

2. 10점 중앙을 정확히 맞히다니 대단해. 

3. 아픈 아이의 엉덩이에 주사를 맞혔다.

4. 화분에 눈을 맞히지 말고 들여놓아라.

 

그럼 '맞추다'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맞추다'는 동사로

1.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

2.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3. 서로 어긋남이 없어 조화를 이루다.

4. 어떤 기준이나 정도에 어긋나지 아니하게 하다.

즉, '둘 이상의 대상을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그럼 '맞추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는 망원경의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2. 상사의 비위를 맞추었다.

3. 간을 맞추기 위해 소금을 넣었다.

4. 여름휴가 계획을 맞추어 보았다.

 

쉽게 생각해서 대상을 두고 비교해 볼 때는 맞추다, 하나를 골라낼 때는 맞히다로 기억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맞히다'와 '맞추다'의 뜻을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