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어떤 행사나 일을 마무리한 후 간단한 파티나 술자리로
그간 고생을 위로하는 단어인 [뒤풀이/뒷풀이]의 올바른 표현을 알아보겠습니다.
'뒤풀이'와 '뒷풀이'는 글로 적을 경우 어떤 표현으로 적어야 할지 헷갈리는 단어중 하나입니다.
그럼 '뒤풀이'와 '뒷풀이'의 의미를 알아보고
앞으로 헷갈리지 않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뒤풀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뒤풀이'는 '어떤 일이나 모임을 끝낸 뒤에 서로 모여 여흥을 즐기는 일'의 뜻을 가지고 있고
'뒤풀이'는 명사 '뒤'와 명사형 '풀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로
한글맞춤법 제 30항 '사이시옷' 규정에 따라
된소리(ㄲ, ㄸ, ㅃ, ㅆ, ㅉ) 나 거센소리(ㅊ, ㅋ, ㅌ, ㅍ) 앞에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발음상으로는 사이시옷이 들어간 '뒷풀이'로 발음 되지만
올바른 맞춤법은 '뒤풀이'가 되어야 합니다.
사이시옷 원칙
1. 순우리말이 들어간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을 적습니다.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 귓밥, 나룻배, 바닷가, 뱃길
- 뒷말의 첫소리 'ㄴ,ㅁ'앞에서 'ㄴ'소리가 덧나는 것: 아랫니, 잇몸, 콧날
-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나뭇잎, 깻잎, 배갯잎
2.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습니다.
뒤뜰, 뒤풀이, 뒤꿈치, 뒤쪽, 위쪽, 나루터
3. 한자어 결합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습니다.
대가(代價 ), 개수(個數)
4. 한자어 결합에 사이시옷을 적는 예외적인 6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5. 외래어와 순우리말의 결합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습니다.
호프집, 피자집, 핑크빛
그렇다면 '뒷풀이'는 무슨 뜻이지?
'뒷풀이'는 '뒤풀이'를 잘못 사용하고 있는 표현입니다.
지금까지 '뒤풀이'와 '뒷풀이'의 맞춤법을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직장인 > 알쏭달쏭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꽂다'와 '꼽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12.12 |
---|---|
'자기개발'과 '자기계발'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1) | 2022.11.30 |
'받으로'와 '받으러' 올바른 맞춤법은? (0) | 2022.11.19 |
'갱신'과 '경신'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11.15 |
'맡다'와 '맞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