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장인 204

'수하물'과 '수화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수하물'과 '수화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수하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수하물'은 [수하물]로 발음되는 명사로 '손에 간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는 짐.', '교통편에 손쉽게 부칠 수 있는 작고 가벼운 짐.' 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수하물(手荷物)'은 '손 수(手)' + '연 하(荷)' + '만물 물(物)'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럼 '수하물'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이번 특가 항공권은 수하물과 기내식 포함 가격이다..

'깜박'과 '깜빡'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깜박'과 '깜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깜박'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깜박'은 [깜박]으로 발음되는 부사로 '불빛이나 별빛 따위가 잠깐 어두워졌다 밝아지는 모양. 또는 밝아졌다 어두워지는 모양.', '눈이 잠깐 감겼다 뜨이는 모양.', '기억이나 의식 따위가 잠깐 흐려지는 모양.' 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그럼 '깜박'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지하철 안에서 깜박 졸다가 내려야 할 역을 지나쳤다. 2. 퓨즈가 나갔는지 전등이 깜박거리다가 꺼져 버렸다. 3. 그는 친구들과 우정이라면 깜박 죽는 사람이다. 4. 오늘은 우리 딸 생일인데 그만 ..

'대물림'과 '되물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대물림'과 '되물림'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약 20%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대물림'과 '되물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대물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대물림'은 [대:물림]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사물이나 가업 따위를 후대의 자손에게 남겨 주어 자손이 그것을 이어 나감. 또는 그런 물건.'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대물림'은 '대신할 대(代)' + '물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럼 '대물림'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

'얼핏'과 '걸핏'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사람들이 흔히 혼동하여 사용하는 '얼핏'과 '걸핏'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얼핏'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얼핏'은 [얼핃]으로 발음되는 부사로 '지나는 결에 잠깐 나타나는 모양', '생각이나 기억 따위가 문득 떠오르는 모양.', '잠깐 나타나거나 문득 생각나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그럼 '얼핏'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아이들을 보니 얼핏 미소가 피어난다. 2. 그는 얼핏 보면 운동선수 같다. 3. 그 집은 얼핏 보아도 좋아 보였다. 4. 그녀의 소식은 얼핏 들었다. 그럼 '걸핏'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걸핏'은 [걸핃]으로 발음되는 부사로 '어떤 일이 진..

'체납'과 '채납'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체납'과 '채납'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46%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체납'과 '채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체납'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체납'은 [체납]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세금 따위를 기한까지 내지 못하여 밀림.'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체납(滯納)'은 '막힐 체(滯)' + '들일 납(納)'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럼 '체납'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납기일까지 세금을 내야 하며 체납할 경우 가산금..

'연애'와 '연예'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비슷해 보이지만 그 뜻은 전혀 다른 '연애'와 '연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연애'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연애'는 [여:내]로 발음되는 명사로 '성적인 매력에 이끌려 서로 좋아하여 사귐', '두 사람이 상대방을 서로 애틋하게 사랑하여 사귐', '서로 상대방을 애틋하게 사모하여 사귀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애(戀愛)'는 '사모할 연(戀)' + '사랑 애(愛)'로 되어있습니다. '연애'는 한자에 따라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물방울 연(涓)' + '티끌 애(埃)' 사용하는 '연애(涓埃)'는 '물방울과 티끌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것을 이르는 말.' '연기 연(煙)' + '구름 피어로를 애(靄)' 사용하는 '..

'예컨대'와 '예컨데'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아래 뉴스 중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한 뉴스는 어느 뉴스일까요? 정답은 위 '예컨대'를 사용한 뉴스가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한 뉴스입니다. 그럼 '예컨대'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예컨대'는 [예:컨대]로 발음되는 부사로 '예를 들자면', '예를 들어 말하자면', '예를 들어 말해 보면'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컨대'는 '법식 예(例)' + '고유어 컨대'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컨대'는 모음이나 'ㄴ', 'ㄹ', 'ㅁ', 'ㅇ'으로 끝나는 일부 명사 뒤에서 '-하건대'가 줄어든 말입니다. 그럼 '예컨대'의 예문을 통..

'향년'과 '방년'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나이와 관련된 말 중에서 비슷한 의미 같지만 전혀 비슷하지 않은 '향년'과 '방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향년'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향년'은 [향:년]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한평생 살아 누린 나이. 죽을 때의 나이를 말할 때 쓴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향년(享年)'은 '누릴 향(享)' + '해 년(年)'으로 한자를 풀이해 보면 '누린 해'정도로 풀이됩니다. 그럼 '향년'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향년 86세를 일기(一期)로 별세하다. 2. 그분은 향년 79세의 파란만장한 삶을 마쳤다. 그럼 '방년'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방년'은 [방년]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이십 세..

'사족'과 '사죽'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사족'과 '사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사족'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사족'은 한자에 따라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는 명사입니다. '선비 사(士)' + '겨레 족(族)'를 사용하는 '사족(士族)'은 '문벌이 좋은 집안. 또는 그 자손.', '선비나 무인(武人)의 집안. 또는 그 자손.' '넉 사(四)' + '발 족(足)'을 사용하는 '사족(四足)'은 '짐승의 네발. 또는 네발 가진 짐승.', ' 사지(四肢)를 속되게 이르는 말.' '뱀 사(蛇)' + '발 족(足)'을 사..

'할게요'와 '할께요'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할게요'와 '할께요'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23%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할게요'와 '할께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할게요'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할게요'는 [할께요]로 발음되는 '하다'의 활용형으로 '사람이나 동물, 물체 따위가 행동이나 작용을 이루다.', '어떠한 결과를 이루어 내다.' '(값어치를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여) 기대에 걸맞은 일을 행동으로 나타내다.', '표정이나 태도 따위를 짓거나 나타내다.' 등의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