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벗어지다'와 '벗겨지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한량이야기 2023. 3. 6. 15:32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벗어지다'와 '벗겨지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벗어지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벗어지다'는 [버서지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덮이거나 씌워진 물건이 흘러내리거나 떨어져 나가다.',

'누명이나 죄 따위가 없어지다.',

'머리카락이나 몸의 털 따위가 빠지다.',

'피부나 거죽 따위가 깎이거나 일어나다.',

'때나 기미 따위가 없어져 미끈하게 되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벗어지다'는 '벗어지어', '벗어져', '벗어지니'등으로 활용됩니다.

 

그럼 '벗어지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신발이 너무 커서 자꾸 벗어진다.

2. 그는 머리가 자꾸 벗어져 걱정이 많다.

3. 넘어져서 무릎이 벗어지고 피가 났다.

4. 도시에서 살더니 촌티가 제법 벗어졌다.

 

그럼 '벗겨지다'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벗겨지다'는 [벋껴지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덮이거나 씌워진 물건이 외부의 힘에 의하여 떼어지거나 떨어지다.',

'사실이 밝혀져 죄나 누명 따위에서 벗어나다.',

'머리털이 빠져 맨살이 드러나게 되다.',

'피부나 거죽 따위가 일어나 속이 드러나게 되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벗겨지다'는 '벗다'의 사동사 '벗기다'에

피동의 뜻을 더하는 '-어지다'가 붙은 말로

'뭔가 외부의 힘이 작용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또한 '벗겨지어', '벗겨져', '벗겨지니'등으로 활용됩니다.

 

그럼 '벗겨지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신발이 꽉 끼어 잘 벗겨지지 않는다.

2. 죽어서야 자식들에 의해 오명이 벗겨졌다.

3. 바람이 불어 모자가 벗겨졌다.

4. 때가 눌어붙어 잘 안 벗겨진다.

 

'벗어지다'와 '벗겨지다' 한 줄 요약!

'벗어지다'는 '주어의 의지 없이 벌어지는 상황'일 때

'벗겨지다'는 '외부 힘이 작용하여 벌어지는 상황'일 때

 

지금까지 '벗어지다'와 '벗겨지다'의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허점'과 '헛점'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허

hanryangitstory.tistory.com

 

'느지막'과 '느즈막'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느

hanryangit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