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로서'와 '~로써'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말이지만
잘못 알고 있거나 구분하기 어려운 한국어의 조사입니다.
그래서 어떤 경우에 '~로서'를 사용하고 또 어떤 경우에 '~로써'를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로서'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로서'는 자격 격 조사로
'지위와 신분, 자격을 나타낼 때', '어떤 동작이 시작되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그럼 '로서'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나는 부모로서 어깨가 무겁다.
2. 이 문제는 너로서 시작되었다.
3. 그 일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4. 효소는 우리 몸속에서 생체 촉매로서 작용한다.
그럼 '로써'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로써'는 기구 격 조사로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 물건의 재료(원료)를 나타낼 때', '어떤 일의 기준이 되는 시간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그럼 '로써'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신에 대한 믿음으로써 살겠다.
2. 올해로써 20년이 지나갔다.
3. 최고의 법으로써 다스리겠다.
4. 이 음식은 최고급 재료들로써 만들어졌다.
'로서'와 '로써'를 다른 말로 풀이해보는 구별법
1) 로서 : ~이기 때문에
예) 선생님으로서 아이들을 가르친다.
-> 선생님이기 때문에 아이들을 가르친다.
2) 로써 : ~을(를) 사용해
예) 이 음식은 최고급 재료들로써 만들어졌다.
-> 이 음식은 최고급 재료를 사용해 만들어졌다.
'로서'와 '로써'에서 '서'와 '써'를 삭제해보는 구별법
'서'와 '써'를 문장에서 삭제 해서 문장이 어색해지면 '로서'를 사용,
어색해지지 않으면 '로써'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 선배로서 조언하자면
-> 선배로 조언하자면 (문장이 어색해 짐 - > 로서)
예) 올해로써 25살이다
-> 올해로 25살이다 (문장이 자연스러움 -> 로써)
하지만 구별법이 항상 통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구별 공식들에 의존하기에
앞서 앞뒤 문맥에 맞게 단어들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로서'와 '로써'의 맞춤법을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직장인 > 알쏭달쏭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웬일'과 '왠일' 올바른 표현은? (0) | 2022.10.19 |
---|---|
'금새'와 '금세'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10.18 |
'량'과 '양'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10.09 |
'맞히다'와 '맞추다' 어떤 의미일까? (0) | 2022.10.07 |
'오랜만'과 '오랫만' 올바른 표현은? (1)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