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80

'닦달'과 '닥달'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닦달'과 '닥달'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48%나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닦달'과 '닥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닦달'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닦달'은 [닥딸]로 발음되는 명사로 '남을 단단히 윽박질러서 혼을 냄.', '물건을 손질하고 매만짐.', '음식물로 쓸 것을 요리하기 좋게 다듬음.' 의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닦달'은 부표제어로 '닦달-하다'가 있습니다. 그럼 '닦달'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조..

[기념우표] 2023 새만금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23.06.30)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2023 새만금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세계스카우트잼버리는 세계스카우트연맹이 4년마다 개최하는 전 세계 스카우트 청소년들의 합동 야영축제입니다. 2017년 8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41차 세계스카우트총회에서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개최국으로 대한민국을 선정했습니다. 올여름 새만금을 뜨겁게 달굴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를 기념우표로 만나봅니다. 잼버리는 ‘유쾌한 잔치’, ‘즐거운 놀이’를 뜻하는 말로 전 세계 170여 개 회원국에서 4만 3천여명의 청소년과 지도자들이 참여하는 행사입니다. 청소년들은 잼버리에 참여하여 민족과 문화, 이념을 초월하여 문화를 교류하고 우애를 나누며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1907년에 영..

'여태껏' vs '여지껏'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여태껏'과 '여지껏'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39%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여태껏'과 '여지껏'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여태껏'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여태껏'은 [여태껃]으로 발음되는 부사로 ''여태'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태'는 지금까지. 또는 아직까지. 어떤 행동이나 일이 이미 이루어졌어야 함에도 그렇게 되지 않았음을 불만스럽게 여기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어 옴을 나타낼 때 쓰는 말입..

굳은살이 '박이다' vs '박히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박이다'와 '박히다'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54%나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박이다'와 '박히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박이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박이다'는 [바기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손바닥, 발바닥 따위에 굳은살이 생기다.', '버릇, 생각, 태도 따위가 깊이 배다.', '인쇄기나 시진기를 이용하여 나타나게 하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박이다'는 '박이어', '박여', '박인', '박이니'등으로 활용됩니다. 그럼 '박이다'의 예문을 통..

나무에 불을 '댕기다' vs '당기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댕기다'와 '당기다'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49%나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댕기다'와 '당기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댕기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댕기다'는 [댕기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물이 옮아 붙다, 또는 그렇게 하다.', '사람이 어떤 물체에 불을 붙게 하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댕기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녀는 그의 마음에 불을 댕겼다. 2. 종이에 불을 댕기자 순식간에 불타..

선수 '교체' vs '교채'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교체'와 '교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교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교체'는 [교체]로 발음되는 명사로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로 대신함.',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로 대신하여 바꿈.', '자리나 역할 따위를 다른 사람 또는 다른 것과 바꿈' 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비슷한 단어로는 '교환', '대체', '상환'등이 있습니다. 그럼 '교체'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낡은 수도관을 교체해..

[기념우표] 방탄소년단, 노래로 전하는 우리의 순간 (23.06.13)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방탄소년단, 노래로 전하는 우리의 순간 전 세계에 ‘방탄소년단 신드롬’을 일으키며 ‘21세기 팝 아이콘’으로 떠오른 방탄소년단(BTS)이 데뷔 10주년을 맞았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방탄소년단이 이룬 지난 10년의 역사를 기념우표에 담아 발행합니다. 2013년 6월에 데뷔해 국내외 신인상을 휩쓴 방탄소년단은 한국과 K-팝을 대표하는 세계적 최정상 그룹으로 성장했습니다. 미국 빌보드, 영국 오피셜 차트, 아이튠즈,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세계 유수의 차트뿐 아니라 음반 판매량, 뮤직비디오 조회수, SNS 지수 등에서도 독보적인 성적을 내며 글로벌 아티스트로서의 면모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방탄소년단은 2021년에 한국 대중가수로는 최초로 ‘제63회 그래..

'사기충천'과 '사기충전'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사기충천'과 '사기충전'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38%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사기충천'과 '사기충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사기충천'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사기충천'은 [사:기충천]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사기가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음.'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사기충천'은 '선비 사(士)' + '기운 기(氣)' + '찌를 충(衝)' + '하늘 천(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자로 풀어서 보면 하늘은 찌르는 기운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애먼'vs'엄한' 사람 잡지 마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애먼'과 '엄한'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37%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애먼'과 '엄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애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애먼'는 [애:먼]으로 발음되는 관형사로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억울하게 느껴지는.',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엉뚱하게 느껴지는.'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그럼 '애먼'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애먼 사람에게 누명을 씌우다. 2. 돈이 없어진 것을..

이 자리를 '빌어' VS '빌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빌어'와 '빌려'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44%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빌어'와 '빌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빌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빌어'는 [비러]로 발음되는 활용어로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하여 달라고 신이나 사람, 사물 따위에 간청하다.', '잘못을 용서하여 달라고 호소하다.', '생각한 대로 이루어지길 바라다.', '남의 물건을 공짜로 달라고 호소하여 얻다.' 의 뜻을 가지고 있는 동사 '빌다'가 어원입니다. '빌다'는 '빌어', '비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