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86

나무에 불을 '댕기다' vs '당기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댕기다'와 '당기다'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49%나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댕기다'와 '당기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댕기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댕기다'는 [댕기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물이 옮아 붙다, 또는 그렇게 하다.', '사람이 어떤 물체에 불을 붙게 하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댕기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녀는 그의 마음에 불을 댕겼다. 2. 종이에 불을 댕기자 순식간에 불타..

선수 '교체' vs '교채'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교체'와 '교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교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교체'는 [교체]로 발음되는 명사로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로 대신함.',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사람이나 사물로 대신하여 바꿈.', '자리나 역할 따위를 다른 사람 또는 다른 것과 바꿈' 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비슷한 단어로는 '교환', '대체', '상환'등이 있습니다. 그럼 '교체'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낡은 수도관을 교체해..

[기념우표] 방탄소년단, 노래로 전하는 우리의 순간 (23.06.13)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방탄소년단, 노래로 전하는 우리의 순간 전 세계에 ‘방탄소년단 신드롬’을 일으키며 ‘21세기 팝 아이콘’으로 떠오른 방탄소년단(BTS)이 데뷔 10주년을 맞았습니다. 우정사업본부는 방탄소년단이 이룬 지난 10년의 역사를 기념우표에 담아 발행합니다. 2013년 6월에 데뷔해 국내외 신인상을 휩쓴 방탄소년단은 한국과 K-팝을 대표하는 세계적 최정상 그룹으로 성장했습니다. 미국 빌보드, 영국 오피셜 차트, 아이튠즈, 스포티파이, 애플뮤직 등 세계 유수의 차트뿐 아니라 음반 판매량, 뮤직비디오 조회수, SNS 지수 등에서도 독보적인 성적을 내며 글로벌 아티스트로서의 면모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방탄소년단은 2021년에 한국 대중가수로는 최초로 ‘제63회 그래..

'사기충천'과 '사기충전'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사기충천'과 '사기충전'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38%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사기충천'과 '사기충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사기충천'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사기충천'은 [사:기충천]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사기가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음.'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사기충천'은 '선비 사(士)' + '기운 기(氣)' + '찌를 충(衝)' + '하늘 천(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자로 풀어서 보면 하늘은 찌르는 기운이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애먼'vs'엄한' 사람 잡지 마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애먼'과 '엄한'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37%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애먼'과 '엄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애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애먼'는 [애:먼]으로 발음되는 관형사로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억울하게 느껴지는.', '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엉뚱하게 느껴지는.'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그럼 '애먼'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애먼 사람에게 누명을 씌우다. 2. 돈이 없어진 것을..

이 자리를 '빌어' VS '빌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빌어'와 '빌려'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44%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빌어'와 '빌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빌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빌어'는 [비러]로 발음되는 활용어로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하여 달라고 신이나 사람, 사물 따위에 간청하다.', '잘못을 용서하여 달라고 호소하다.', '생각한 대로 이루어지길 바라다.', '남의 물건을 공짜로 달라고 호소하여 얻다.' 의 뜻을 가지고 있는 동사 '빌다'가 어원입니다. '빌다'는 '빌어', '비니'..

[기념우표] 꿀벌 (23. 05. 19)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꿀벌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 이상이 ‘꿀벌’의 수분으로 생산된다고 합니다. 지구상에서 가장 열심히 일하면서 식물의 번식과 농작물 생산에 공을 세우고 있는 꿀벌을 기념우표로 소개합니다. 벌목(Hymenoptera) 꿀벌과(Apidae)에 속하는 꿀벌은 수많은 곤충 중에서도 꽃가루를 직접 날라 식물의 수분과 작물 생산을 돕는 ‘화분매개자’입니다. 꿀벌은 정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온몸에 꽃가루를 묻히고 이를 경단으로 만들어 뒷다리에 붙입니다. 뒷다리에는 긴 털이 촘촘하게 나 있어 꿀이나 꽃가루가 잘 묻는 ‘꽃가루 바구니’가 있습니다. 꿀벌은 이 꽃 저 꽃으로 날아다니며 바구니에 ..

4월 1일부터 대폭 바뀌는 세입자에 대한 보호조치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2023년 4월 1일부터 전세 세입자에 대한 정부의 보호조치가 대폭 강화됩니다. 1. 우선순위 변제 4월 1일부터 세입자가 계약한 주택이 공매, 경매된 경우 해당 주택에 부과되는 종합부동산세, 상속세 등 당해세분의 우선순위를 주택 보증금 변제와 바뀌게 됩니다. 즉, 확정일자보다 늦게 발생한 당해세분만큼은 세입자의 보증금이 우선 변제되도록 바뀌게 됩니다. 변경되는 경매 대금 우선순위 순위 기존 제도 바뀌는 제도 1순위 경매 수수료 경매 수수료 2순위 정부 당해세 전세피해자 (정부 당해세분만큼) 3순위 저당권 및 채권 저당권 및 채권 4순위 임차보증금 임차보증금 5순위 정부 당해세 위 표에서와 같이 정부당해세는 가장 후순위가 됩니다. 이 제도는 23년 ..

뽀롱뽀롱 뽀로로 (23.05.04)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뽀롱뽀롱 뽀로로 는 호기심 많은 개구쟁이 꼬마 펭귄 뽀로로와 그의 친구들이 벌이는 재미난 소동과 감동을 담은 스토리로 2003년 첫 방영 이후 현재까지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 국내 대표 애니메이션입니다. 뽀로로 탄생 20주년을 맞아 이제는 글로벌 캐릭터가 된 뽀로로와 친구들을 기념우표로 만나봅니다. 2003년 11월 27일, EBS에서 정규 프로그램으로 방영된 는 어린 펭귄 뽀로로와 친구들의 이야기를 담은 애니메이션입니다. “안녕? 난 뽀로로야”라는 인사와 함께 등장한 뽀로로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친근한 에피소드로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으며, 교육과 재미를 동시에 충족한 애니메이션으로 육아를 하는 부모들에게도 큰 사랑을 받고 ..

한국의 옛 건축(산사) (23. 04. 14)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한국의 옛 건축(산사) 우리나라는 7~9세기에 중국 대승불교의 다양한 종파를 수용하며 수많은 사찰을 건립했습니다. 전국 명산에 세워진 한국의 산사 7곳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며, 그 중 살아있는 불교 유산으로 오랜 세월 신도들의 신앙처이자 승려들의 수행 공간인 산사 4곳을 소개합니다. 안동 천등산에 있는 '봉정사'는 의상대사의 제자였던 능인대사가 문무왕 12년(672)에 창건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목조건물이자 국보인 극락전과 조선 초기의 건물이자 국보인 대웅전, 그리고 보물로 지정된 화엄강당과 고금당 등 여러 건물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봉정사삼층석탑이 있습니다. 우표에는 봉정사의 중심 법당인 대웅전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