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86

강동구 초품아 2탄 고덕자이 임장기

지난번 아르테온에 이어 강동구 초품아 2탄 고덕 자이를 보겠습니다. 고덕 자이는 상일동역 인근에 있으며 아르테온 단지와 바로 마주보고 있습니다. 상일동역 5번출구에서 아르테온 단지 메인도로를 따라 자이 정문까지는 500m정도 됩니다. 동별로 보면 역까지 도보 10분 ~ 13분정도 소요됩니다. GS건설에서 지은 단지이며 자이브랜드는 말이 필요없죠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 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세대수는 1824세대 총주차대수는 세대당 1.31대 입니다 . 33평형 기준 2023.04월 네이버 매매 호가는 최저 13억원 최고 16억원으로 올라와 있습니다 . 아실 실거래가 보겠습니다. 2023년 3월 가장 최근 거래가격은 12억 5천만원 입니다. 지난 최고가는 2021년 7월에 16억 8천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

강동구 초품아 고덕 아르테온 벚꽃임장기

안녕하세요. 날씨가 한참 따뜻해서 벚꽃이 흩날리던 날 눈여겨보고 있던 강동구 아르테온에 임장을 다녀왔습니다. 첫째아이의 초등입학이 몇년 안으로 다가오니 학교도 보내고 장기적으로 거주할 아파트 단지를 매일 고민하고 있습니다. 완전초품아 역세권 대단지의 입지를 모두 갖춘 아르테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대건설, 대림산업 시공의 아파트이며 강동구 상일동에 위치하며 5호선 상일동역 바로앞에 위치합니다. 세대수는 4066세대 주차대수는 세대당 1.57대 입니다. 우선 2023년 4월 기준 네이버 시세를 보겠습니다. 34평기준 호가로 최저가는 14억 최고가는 20억에 올라와 있습니다. 최근 실거래는 13억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종전 같은 평수 최고 실거래가는 19억 8천만원으로 상당히 내려온 모습니다. 직접 발로 ..

'예삿일'과 '예사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예삿일'과 '예사일'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31%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예삿일'과 '예사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예삿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예삿일'은 [예:산닐]로 발음되는 명사로 '보통 흔히 있는 일.'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삿일'은 '범식 예(例)' + '일 사(事)' + '순우리말 일'의 합성어입니다. 사시시옷 규정에 의하면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이 나고 뒷말의 첫 소리가 ..

대한민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23.04.07)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대한민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 2022년 12월, 대한민국은 최초의 달 궤도선 ‘다누리(KPLO)’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며 우주 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 7번째 달 탐사 국가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한 다누리의 성공을 축하하며 우정사업본부는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한국의 달 탐사 계획은 2007년 우주개발사업 세부 실천 로드맵에 처음 명시되었습니다.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16년, 다누리 개발에 착수하였습니다. 다누리의 길이는 태양전지판을 전개하였을 때 6.3m 정도이며 발사 시 무게는 약 678㎏입니다. ‘다누리’라는 명칭은 2022년 1월 26일부..

'해코지'와 '해꼬지'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해코지'와 '해꼬지'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17%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해코지'와 '해꼬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해코지'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해코지'는 [해:코지]로 발음되는 명사로 '남을 해치고자 하는 짓.' 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해코지'는 '해로울 해(害)' + 순우리말인 '코지'의 합성입니다. '코지'의 어원이나 유래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럼 '해코지'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자..

'벌이다'와 '벌리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벌이다'와 '벌리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벌이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벌이다'는 [버:리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거나 펼쳐 놓다.', '놀이판이나 노름판 따위를 차려 좋다.', '여러 가지 물건을 늘어놓다.', '가게를 차리다.', '전쟁이나 말다툼 따위를 하다.' 의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벌이다'는 '벌이어', '벌이고', '벌여', '벌이니'등으로 활용됩니다. 그럼 '벌이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는 사업을 벌이고 큰 부..

'왜소하다'와 '외소하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왜소하다'와 '외소하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왜소하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왜소하다'는 [왜소하다]로 발음되는 형용사로 '몸뚱이가 작고 초라하다.', '사물이나 크기, 규모가 초라할 만큼 작다.', '행동이나 태도가 활달하지 못하고 위축되어 초라하다'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왜소하다'는 '왜소하여', '왜소해', '왜소하니'등으로 활용되고 주표제어로는 '왜소'이며 '왜소하다'의 어근입니다. 그럼 '왜소하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는 친구들에 비해 왜소한 ..

십장생도 병풍 (23.03.30)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십장생도 병풍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고 싶은 인간의 욕망은 동아시아에서 독특한 상징과 문화로 발달했고, 이는 예술 작품의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특히 불로장생을 뜻하는 10종류의 자연물을 가리켜 한국에서는 ‘십장생’이라 하는데, 이러한 십장생은 다양한 수공예품과 생활 도구에도 표현되어 지금까지 전해집니다. 이번 기념우표에서는 삼성그룹 고 이건희 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십장생도 병풍’을 소개합니다.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상징하는 십장생은 주로 해, 산, 물, 돌, 소나무, 대나무, 구름, 영지, 거북, 학, 사슴 등의 10가지 내외의 자연물을 일컫습니다. 이 병풍에는 십장생에 신선 세계의 복숭아 ‘반도(蟠桃)’까지 더하여 화폭이 더욱 풍성합니다...

'뒤탈'과 '뒷탈'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뒤탈'과 '뒷탈'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33%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뒤탈'과 '뒷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뒤탈'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뒤탈'은 [뒤:탈]로 발음되는 명사로 '어떤 일의 뒤에 생기는 탈.'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뒤 단어의 첫소리가 원래부터 된소리나 거센소리일 때에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기 때문에 '뒤탈'로 적습니다. 그럼 '뒤탈'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승낙'과 '승락'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승낙'과 '승락'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21%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승낙'과 '승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승낙'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승낙'은 [승낙]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청하는 바를 들어줌.', '『법률』청약의 상대편이 계약을 성립시키지 위하여 청약자에 대하여 하는 의사 표시.'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승낙(承諾)'은 '받들 승(承)' + '대답할 낙(諾)'으로 되어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2항에 따르면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