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80

[MariaDB] 수학 함수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1. ABS (숫자)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합니다. SELECT ABS (-10); // 10을 반환 2. CEILING (숫자) 숫자의 올림값을 반환합니다. SELECT CEILING (3.14); // 4를 반환 3. FLOOR (숫자) 숫자의 내림값을 반환합니다. SELECT FLOOR (3.14); // 3을 반환 4. ROUND (숫자) 숫자의 반올림값을 반환합니다. SELECT ROUND (3.56); // 4를 반환 5. CONV (숫자, 기본변환, 베이스) 서로 다른 수 기준 간에 숫자를 변환합니다. SELECT CONV ('A', 16, 2); // 1010을 반환 6. MOD (숫자1, 숫자2) 숫자1을 숫자2로 나눈 나머지를 변환합..

IT 소스/MariaDB 2022.12.29

'빚을 갚다'와 '빚을 값다'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은행에서 빌린 돈을 오늘 모두 [갚았다. / 값았다.] 과연 어떤 말이 표준어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갚았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혼란스러운 단어인 '갚다'와 '값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갚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갚다'는 동사로 '남에게 빌리거나 꾼 것을 돌로 돌려주다.', '남에게 진 신세나 품게 된 원한 따위에 해아여 그에 상당하게 돌려주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갚음하다', '돌려주다', '물다'가 있습니다. 그럼 '갚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형님부부에게 신세를 갚다. 2. 말 한마디에 천냥 빚도 갚는다. 3. 은혜를 원수로 갚다. 4. 빌린 곡식을..

[MariaDB] 문자열 함수 3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1. UPPER (문자열)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하여 반환합니다. (UCASE) SELECT UPPER ('AbCdEfGhIjKl'); // ABCDEFGHIJKL를 반환 2. LOWER (문자열)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하여 반환합니다. (LCASE) SELECT LOWER ('AbCdEfGhIjKl'); // abcdefghijkl를 반환 3. LPAD (문자열, 숫자, 추가문자열) 문자열을 숫자만큼 늘린 후 추가문자열을 왼쪽부터 반복하여 채운 후 반환합니다. SELECT LPAD ('ABCDEFGH', 15, 'ZYX'); // ZYXZYXZABCDEFGH를 반환 4. RPAD (문자열, 숫자, 추가문자열) 문자열을 숫자만큼 늘린 후 추가문자열을..

IT 소스/MariaDB 2022.12.28

[MariaDB] 문자열 함수 2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1. INSTR (문자열, 검색문자열) 문자열에서 검색문자열을 찾아 해당 위치를 반환합니다. 만약 검색문자열을 없으면 0을 반환합니다. SELECT INSTR ('ABCDEFGHIJKL', 'EF'); // 5를 반환 2. LOCATE (검색문자열, 문자열) 문자열에서 검색문자열을 찾아 해당 위치를 반환합니다. 만약 검색문자열을 없으면 0을 반환합니다. SELECT LOCATE ('EF', 'ABCDEFGHIJKL'); // 5를 반환 3. FORMAT (숫자, 자릿수) 주어진 숫자에 천단위 콤마(,)를 추가하고 주어진 자릿수로 반올림하여 반환합니다. SELECT FORMAT(1234567890.987654321, 3); // 1,234,567,89..

IT 소스/MariaDB 2022.12.28

[MariaDB] 문자열 함수 1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1. ASCII (문자) 문자의 ASCII 코드값을 반환합니다. SELECT ASCII('A'); // 65를 반환 2. CHAR (숫자) 숫자(아스키코드값)에 해당하는 문자값을 반환합니다. SELECT CHAR (65); // A를 반환 3. BIT_LENGTH (문자열) 문자열의 BIT(비트)의 크기를 반환합니다. SELECT BIT_LENGTH ('ABCD'); // 32를 반환 4. CHAR_LENGTH (문자열)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합니다. SELECT CHAR_LENGTH ('ABCD'); // 4를 반환 5. LENGTH (문자열) 문자열의 BYTE(바이트)의 크기를 반환합니다. SELECT LENGTH ('ABCD'); // 4를 반환..

IT 소스/MariaDB 2022.12.28

'띄다'와 '띠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띄다'와 '띠다'는 모두 '띠:다'로 발음돼서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그럼 '띄다'와 '띠다'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띄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띄다'는 동사로 '뜨이다'의 줄임말로 '눈에 보이다.', '남보다 훨씬 두드러지다.' 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튀다'가 있습니다. 그럼 '띄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파란 모자가 눈에 띄다. 2. 그 행동은 눈에 띄는 행동이다. 3. 강물이 눈에 띄게 불어났다. 4. 맞춤법에 맞게 띄어 쓰세요. 그럼 '띠다'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띠다'는 동사로 '용..

[MariaDB] 흐름제어 함수 (IF, IFNULL, NULLIF)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1. IF (조건절, 참, 거짓) 주어진 조건절이 참일 경우 참구문을 실행, 거짓이면 거짓 구문을 실행한다.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IF ( 1 > 0 , '조건은 참입니다.', '조건은 거짓입니다.') 위 구문은 실행하면 1은 0보다 크므로 참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참구문을 실행합니다. 2. IFNULL (조건절, 실행문) 주어진 조건절이 'NULL'이면 실행문을 실행하고 'NULL'이 아니면 조건절을 반환합니다.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SELECT IFNULL (NULL, 'NULL입니다.'); SELECT IFNULL (100, 'NULL입니다.'); 조건절이 'NULL'인 경우 'NULL입니다.'를 실행하고 'NULL'이..

IT 소스/MariaDB 2022.12.27

'불현듯'과 '불연듯'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불현듯'과 '불연듯'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헷갈리는 단어입니다. 아래 뉴스 중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한 뉴스는 어느 뉴스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불현듯'을 사용한 뉴스가 맞는 표현을 사용한 뉴스입니다. 그럼 '불현듯'과 '불연듯'의 두 단어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불현듯'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불현듯'은 부사로 '불'과 '현'(혀다 - 켜다의 옛말)과 '듯'으로 이루어진 말입니다. '불을 켜서 불이 일어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갑자기 어떠한 생각이 걷잡을 수 없이 일어나는 모양', '어떤 행동을 갑작스럽게 하는 모양'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문득', '느닷없이', '갑자기' 등이 있습니다. 그럼 '불현듯'..

[MariaDB] 날짜와 시간 증감 (INTERVAL)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INTERVAL 키워드는 날 또는 시간을 더하거나 뺄 수 있습니다. 구문은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INTERVAR change_time_number time_unit change_time_number : 변경하고자 하는 기본 시간 단위의 정수 값입니다. 예로 SECOND는 초 단위의 시간을 변경할 때 사용 합니다. SELECT '2022-12-24 23:59:59' + INTERVAL 1 SECOND; 위 쿼리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12월 24일 23시 59분 59초에 1초를 더해 12월 25일이 되었습니다. 아래는 time_unit 구문에 사용 가능한 unit입니다. Unit Description MICROSECOND Microse..

IT 소스/MariaDB 2022.12.26

루이 파스퇴르 탄생 200주년 (22.12.27)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광견병은 매우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로 그리스 신화에도 등장할 만큼 오랜 역사를 지녔습니다. 이러한 광견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광견병백신을 처음 개발한 사람이 루이 파스퇴르(1822-1895)입니다. 올해는 ‘미생물학의 아버지’ 루이 파스퇴르가 탄생한 지 20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파스퇴르는 1822년에 프랑스 동부의 작은 마을 돌(Dole)에서 태어났습니다. 대학에서 당대 최고의 화학자 뒤마의 강의를 듣고 화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한 그는 스물여섯 젊은 나이에 당시 과학자들의 숙제였던 주석산의 서로 다른 결정을 분리하는 성과를 거두며 유명해졌습니다. 결정학 연구에서 포도주의 발효를 관찰한 파스퇴르는 자연스럽게 미생물 영역으로 진입했습니다. 그리고 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