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155

이 자리를 '빌어' VS '빌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빌어'와 '빌려'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44%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빌어'와 '빌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빌어'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빌어'는 [비러]로 발음되는 활용어로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하여 달라고 신이나 사람, 사물 따위에 간청하다.', '잘못을 용서하여 달라고 호소하다.', '생각한 대로 이루어지길 바라다.', '남의 물건을 공짜로 달라고 호소하여 얻다.' 의 뜻을 가지고 있는 동사 '빌다'가 어원입니다. '빌다'는 '빌어', '비니'..

'예삿일'과 '예사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예삿일'과 '예사일'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31%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예삿일'과 '예사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예삿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예삿일'은 [예:산닐]로 발음되는 명사로 '보통 흔히 있는 일.'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삿일'은 '범식 예(例)' + '일 사(事)' + '순우리말 일'의 합성어입니다. 사시시옷 규정에 의하면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이 나고 뒷말의 첫 소리가 ..

'해코지'와 '해꼬지'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해코지'와 '해꼬지'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17%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해코지'와 '해꼬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해코지'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해코지'는 [해:코지]로 발음되는 명사로 '남을 해치고자 하는 짓.' 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해코지'는 '해로울 해(害)' + 순우리말인 '코지'의 합성입니다. '코지'의 어원이나 유래는 알 수 없습니다. 그럼 '해코지'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자..

'벌이다'와 '벌리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벌이다'와 '벌리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벌이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벌이다'는 [버:리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일을 계획하여 시작하거나 펼쳐 놓다.', '놀이판이나 노름판 따위를 차려 좋다.', '여러 가지 물건을 늘어놓다.', '가게를 차리다.', '전쟁이나 말다툼 따위를 하다.' 의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벌이다'는 '벌이어', '벌이고', '벌여', '벌이니'등으로 활용됩니다. 그럼 '벌이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는 사업을 벌이고 큰 부..

'왜소하다'와 '외소하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왜소하다'와 '외소하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왜소하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왜소하다'는 [왜소하다]로 발음되는 형용사로 '몸뚱이가 작고 초라하다.', '사물이나 크기, 규모가 초라할 만큼 작다.', '행동이나 태도가 활달하지 못하고 위축되어 초라하다'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왜소하다'는 '왜소하여', '왜소해', '왜소하니'등으로 활용되고 주표제어로는 '왜소'이며 '왜소하다'의 어근입니다. 그럼 '왜소하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는 친구들에 비해 왜소한 ..

'뒤탈'과 '뒷탈'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뒤탈'과 '뒷탈'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33%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뒤탈'과 '뒷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뒤탈'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뒤탈'은 [뒤:탈]로 발음되는 명사로 '어떤 일의 뒤에 생기는 탈.'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 4장 4절 30항에 따르면 합성어에서 뒤 단어의 첫소리가 원래부터 된소리나 거센소리일 때에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않기 때문에 '뒤탈'로 적습니다. 그럼 '뒤탈'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승낙'과 '승락'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승낙'과 '승락'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21%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승낙'과 '승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승낙'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승낙'은 [승낙]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청하는 바를 들어줌.', '『법률』청약의 상대편이 계약을 성립시키지 위하여 청약자에 대하여 하는 의사 표시.'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승낙(承諾)'은 '받들 승(承)' + '대답할 낙(諾)'으로 되어 있습니다. 한글맞춤법 제52항에 따르면 한자어에서 본음으로도 나고 속..

'수하물'과 '수화물'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수하물'과 '수화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수하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수하물'은 [수하물]로 발음되는 명사로 '손에 간편하게 들고 다닐 수 있는 짐.', '교통편에 손쉽게 부칠 수 있는 작고 가벼운 짐.' 의 뜻을 가진 단어입니다. '수하물(手荷物)'은 '손 수(手)' + '연 하(荷)' + '만물 물(物)'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럼 '수하물'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이번 특가 항공권은 수하물과 기내식 포함 가격이다..

'깜박'과 '깜빡'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깜박'과 '깜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깜박'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깜박'은 [깜박]으로 발음되는 부사로 '불빛이나 별빛 따위가 잠깐 어두워졌다 밝아지는 모양. 또는 밝아졌다 어두워지는 모양.', '눈이 잠깐 감겼다 뜨이는 모양.', '기억이나 의식 따위가 잠깐 흐려지는 모양.' 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그럼 '깜박'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지하철 안에서 깜박 졸다가 내려야 할 역을 지나쳤다. 2. 퓨즈가 나갔는지 전등이 깜박거리다가 꺼져 버렸다. 3. 그는 친구들과 우정이라면 깜박 죽는 사람이다. 4. 오늘은 우리 딸 생일인데 그만 ..

'대물림'과 '되물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대물림'과 '되물림'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약 20%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대물림'과 '되물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대물림'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대물림'은 [대:물림]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사물이나 가업 따위를 후대의 자손에게 남겨 주어 자손이 그것을 이어 나감. 또는 그런 물건.'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대물림'은 '대신할 대(代)' + '물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럼 '대물림'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