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헷갈리는 문구인 '-함으로'와 '-하므로'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문구는 어떻게 보면 '-함으로'가 맞는 표현인 것 같고
'-하므로'는 편하게 받침을 없앤 뒤 사용하는 말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두 문구 모두 맞는 표현의 문구입니다.
그럼 두 문구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함으로'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함으로'는 '하다'의 명사형 '함'에 조사 '으로'가 붙은 형태로
'- 하는 것으로(써)'라는 수단이나 도구, 방법 등을 나타냅니다.
'-함으로'에는 뒤에 '써'가 붙어 그 의미를 더 할 수 있습니다.
그럼 '- 함으로'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돈을 구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었다.
2. 그는 열심히 일함으로(써) 부자가 되었다.
3. 영업정책을 변경함으로(써)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4. 자료 보관을 직접함으로(써) 훼손을 막을 수 있었다.
그럼 '-하므로'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하므로'는 '하다' 동사 어간 '하'에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므로'가 붙은 형태로
'- 하기 때문에'라는 까닭이나 이유, 원인 등을 나타냅니다.
'-하므로'에는 뒤에는 '써'가 절대 붙을 수 없습니다.
그럼 '- 하므로'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지난 영업 피해가 상당하므로 긴급회의를 합니다.
2. 그 사람은 성실하므로 믿음이 간다.
3. 그녀는 늘 노력하므로 공부를 잘한다.
4. 그 부부는 서로 사랑하므로 행복해 보인다.
'함으로'와 '하므로' 어떤 단어를 써야 헷갈리신다면
대체 가능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함으로'는 '-하는 것으로(써)'
'-하므로'는 '-하기 때문에'
위 단어로 바꾸었을 때 말이 되는 걸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함으로'와 '-하므로'의 뜻과 맞춤법을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직장인 > 알쏭달쏭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깃밥'과 '공기밥'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0) | 2023.01.30 |
---|---|
'좆다', '좇다', '쫒다', '쫓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1) | 2023.01.27 |
'따뜻하다'와 '따듯하다'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0) | 2023.01.26 |
'통째로'와 '통채로'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0) | 2023.01.26 |
'저녁'과 '저녘'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