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붙이고' vs '부치고'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한량이야기 2024. 2. 16. 13:33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붙이고 vs 부치고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붙이고'와 '부치고'는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40%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네이버 맞춤법 퀴즈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붙이고'와 '부치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붙이고'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붙이고' 설명

'붙이고'는 동사 '붙-이다'의 활용어

'맞닿아 떨어지지 않게 하다.',

'불을 일으켜 타게 하다.',

'취미나 흥미등 마음에 당기게 하다.',

'어떤 일에 제한이나 조건을 두거나 내세우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 6항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이(-)'나 '-히-'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붙이고'는 '붙다'에 '-이-'가 결합한 말이므로

'부치다'로 적지 않고 '붙이다'로 적는다.

 

그럼 '붙이고'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만신창이가 된 몸에 반창고를 붙이고 있었다.
2. 성냥불을 초 끝이 붙이고 만수향을 피웠다.

3. 아이와 정을 붙이고 나니 떨이지가 싫었다.

4. 계약에 조건을 붙이고 협상을 시작했다.

 

그럼 '부치고'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부치고' 설명

'부치고'는 동사 '부치다'의 활용어

'편지나 물건 등을 운송 수간을 통해 상대방에게 보내다.',

'어떤 문제나 일 등을 넘기다.',

'취미나 흥미등 마음에 당기게 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글 맞춤법 제 22항

 용언의 어간에 '-이-, -히-, -우-'가 붙어서 된 말이라도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는 규정에 따라

'부치다'는 '붙다'에 '-이-'가 결합한 말이지만

'붙이다'로 적지 않고 '부치다'로 적는다.

 

'붙이다'와 '부치다' 구별법

'붙이다'는  '서로 붙게 하다.'의 뜻

'부치다'는 '보내거나 넘기다.'의 뜻

 

지금까지 '붙이고'와 '부치고'의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승낙'과 '승락'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승

hanryangitstory.tistory.com

 

'대물림'과 '되물림'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대

hanryangit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