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어의없다'와 '어이없다'는 아래와 같이 대중매체에서도 가끔 실수하는 단어입니다.
위 뉴스를 보면 '어의없는'과 '어이없다'를 모두 사용했습니다.
과연 올바른 맞춤법으로 작성한 뉴스는 어느 뉴스일까요?
먼저 '어이없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어이없다'는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힌다.'의 뜻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어이없다'의 어원은 '어이' + '없다'입니다.
그래서 '어이없는', '어이없고', '어이없어', '어이없지' 등으로 사용됩니다.
'어이없다'는 '어처구니없다'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준어 규정 제 1부 제 3장 제 26항에 따르면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및 가지가 널리 쓰이며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
라는 규정에 따라 둘 다 표준어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그럼 '어이없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소문이 너무 황당하여 어이없다.
2. 내가 그 일을 당하니 어이없다.
3. 어이없는 실수로 일이 커지고 말았다.
그럼 '어의없다'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어의없다'는 '어이없다'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어의'보다 '어이'가 발음하기 편한데 왜 '어의'라고 쓰는 현상이 나타날까요?
그 이유는 아마 '표준발음법' 제 5항의 단어 첫음절 외의 '의'는 '의'로 발음함이 원칙이나
'이'로 발음함도 허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의'는 '주의'로 발음하는 게 원칙이긴 하나 '주이'로 발음할 수도 있습니다.
평소 '주의'로 쓰고 '주이'로 발음하는데 익숙한 사람들이
'어이없다'를 무의식 중에 '어의없다'로 착각해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어의'는 '임금이 입던 옷' 또는 '임금이나 왕족의 병을 치료하는 의원'을 뜻하는 말입니다.
'어이'는 '어이'만으로 뜻을 가지지 못 하기 때문에 반드시 '없다'와
짝을 이루어 '어이없다', '어이가 없다'로 사용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어이없다'와 '어의없다'의 뜻과 맞춤법을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직장인 > 알쏭달쏭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신'과 '경신'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11.15 |
---|---|
'맡다'와 '맞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22.11.12 |
'뵈다'와 '봬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3) | 2022.11.02 |
'역할'과 '역활' 올바른 맞춤법은? (0) | 2022.10.26 |
'웬일'과 '왠일' 올바른 표현은? (0) | 202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