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알쏭달쏭 맞춤법

'조치'와 '조취'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한량이야기 2022. 12. 16. 09:24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조치'와 '조취'는 그 의미는 완전히 다른데 발음이

비슷해서 뉴스에서도 잘못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출처 - 콜로라도 타임즈 2022년 11월 23일 자

위 사례처럼 '조치'를 사용해야 하는 자리에

'조취'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조치를 취하라'는 표현 때문에 '조취'로 헷갈려하는 것 같습니다. 

 

그럼 '조치'와 '조취'는 어떤 상황에 사용해야 하는지

두 단어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조치'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조치(措置)'는 명사로 

'어떤 문제나 사태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대책을 계획하는 것'

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조치'의 '조'는 처리하다의 '措'이고

'치'는 배치하다의  '置'입니다.

이 둘을 조합하면 '처리할 수 있게 배치하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단어로는 '조처'가 있습니다. 

 

그럼 '조치'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이번 사건은 강력한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

2. 열이 많이 나서 학교에서 귀가 조치하였다.

3. 취약 계층 보호 조치를 강화했다.

4. 민생 안정화를 위한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

 

 

그럼 '조취'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조취()'는 명사로

'동물의 고기나 털 같은 단백질이 탈 때 나는 역겨운 냄새'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조취'의 '조'는 짐승, 새를 뜻하는 '臊'이고

'취'는 냄새를 뜻하는 '臭'입니다.

그래서 동물의 악취 등과 같이 냄새나 향기를 표현하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비슷한 말로는 '누린내'가 있습니다.

 

그럼 '조취'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바비큐를 하는데 조취가 심하게 나더라.

2. 폐사한 닭에서 나오는 조취 때문에 힘들었다. 

3. 조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조치(措置)'와 '조취()'는

한글로 보면 비슷해보이지만

한자로 보면 서로 완전히 다른 단어입니다.

 

지금까지 '조치'와 '조취'의 뜻을 알아봤습니다.

앞으로는 헷갈리지 말고 올바르게 사용합시다.

 

감사합니다. 

 

'역할'과 '역활'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역할'과 '역활'은 발음이 비슷해서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입니다. 오늘은 '역할'과 '역활'의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역할'

hanryangitstory.tistory.com

 

'안팎'과 '안밖'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안'과 '밖'을 같이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어인 [안팎/안밖]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연 올바른 맞춤법으로 작성한 뉴스는 어느 뉴

hanryangitstor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