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맞춤법 50

'겉잡다'와 '걷잡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말 중에는 발음이 비슷하여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 '겉잡다'와 '걷잡다'도 그 중 하나입니다. 두 단어의 발음이 '걷짭따'로 동일하지만 그 의미는 다릅니다. 그럼 '겉잡다'와 '걷잡다'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겉잡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겉잡다'는 동사로 '겉으로 보고 대강 짐작하여 헤아리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어림잡다.', '대중하다.'가 있습니다. 그럼 '겉잡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올해 예산을 겉잡아서 말하지 말고 계획을 잘 세워야 합니다. 2. 겉잡아도 한 달은 걸릴 일을 보름 만에 하라고 한다. 3. 그 물건은 겉잡아 봐도 백만..

'매다'와 '메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매다'와 '메다'는 실제 발음이 같지만 글자 선 하나로 완전히 다른 뜻이 되는 단어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그럼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 올바른 맞춤법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매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매다'는 동사로 '줄이나 끈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않게 마디를 만들다.', '끈이나 줄 따위로 꿰매거나 동이거나 하여 무엇을 만들다.', '가축을 기른다.', '논밭에 난 잡초나 풀 등을 뽑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결박하다.'가 있고 반대말로는 '풀다.'가 있습니다. 그럼 '매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넥타이를 매다. 2. 신발끝을 매다. 3..

'조치'와 '조취'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조치'와 '조취'는 그 의미는 완전히 다른데 발음이 비슷해서 뉴스에서도 잘못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위 사례처럼 '조치'를 사용해야 하는 자리에 '조취'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조치를 취하라'는 표현 때문에 '조취'로 헷갈려하는 것 같습니다. 그럼 '조치'와 '조취'는 어떤 상황에 사용해야 하는지 두 단어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조치'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조치(措置)'는 명사로 '어떤 문제나 사태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대책을 계획하는 것' 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조치'의 '조'는 처리하다의 '措'이고 '치'는 배치하다의 '置'입니다. 이 둘을 조합하면 '처리할 수 있게 배치하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

'꽂다'와 '꼽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꽂다'와 '꼽다'는 의미를 혼돈하여 사용하기 쉬운 단어입니다. 하지만 이것만 알면 간단하게 구분할 수 있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그럼 어떤 경우에는 '꽂다'를 쓰고 또 어떤 경우에 '꼽다'를 쓰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꽂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꽂다'는 동사로 '쓰러지거나 빠지지 않게 세우거나 끼우다.', '내던져 거꾸로 박히게 하다.', '직선으로 빠르게 다다르게 하다.', '시선 등을 한 곳에 고정하다.' 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빼다 또는 뽑다의 반대말'로 기억하시면 됩니다. 그럼 '꽂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말뚝을 꽂아 경계를 표시했다. 2. 빨대를 꽂아 커피를 마셨다. 3...

'자기개발'과 '자기계발' 어떤게 맞는 표현일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자기개발'과 '자기계발'은 사용할 때마다 뭐가 맞는 표현인지 은근히 신경 쓰이는 단어입니다. 위 뉴스와 같이 '자기개발'과 '자기계발'을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과연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한 뉴스는 어느 뉴스일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둘 다 표준어로 상황에 맞는 표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자기개발'과 '자기계발'은 어떤 상황에 사용해야 하는지 두 단어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자기개발'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개발'은 명사로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의 뜻 외에 '토지나 천연자원 따위를 유용하게 만듦' - 유전 개발, 수자원 개발 '산업이나 경제 따위를 발전하게 함' - 산업 개발 '새로운 물건을 만들거나 새로운 생각을..

'받으로'와 '받으러'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받으로'와 '받으러'는 아래와 같이 대중매체에서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위 뉴스를 보면 '받으로'와 '받으러'를 사용하였습니다. 올바른 맞춤법으로 작성한 뉴스는 어느 뉴스일까요? 정답은 '받으러'로 작성한 아래 뉴스가 올바른 맞춤법으로 작성한 뉴스입니다. 그럼 '받으로'와 '받으러'의 의미를 알아보고 앞으로 헷갈리지 않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받으러'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받으러'는 기본형인 '받다'에 '-으러'가 붙어 활용형으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으러'는 'ㄹ'을 제외한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어간 뒤에 붙어, 가거나 오거나 하는 동작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로 주로 이동을 뜻하는 동사와 함께 쓰여집니다. 그럼 '받으러'의..

'갱신'과 '경신'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갱신'과 '경신'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지만 혼돈하기 쉬운 단어입니다. 그 이유는 둘 다 같은 한자어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갱신'과 '경신'의 한자어인 '更'은 '고칠 경'과 '다시 갱'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따라서 '更新'은 경우에 따라 '갱신'으로도, '경신'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갱신'과 '경신'의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고 앞으로 헷갈리지 않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갱신'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갱신'은 명사로써 '법률관계의 존속기간이 끝났을 때 그 기간을 연장하는 일', '기존의 내용을 변동된 사실에 따라 변경, 추가, 삭제하는 일'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갱신'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

'맡다'와 '맞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맡다'와 '맞다'는 그 뜻은 완전히 다르지만 발음이 비슷해서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럼 맡다와 맞다의 사전적 의미와 예문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맡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맡다'는 동사로써 '어떤 일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담당하다.', '어떤 물건을 받아 보관하다.', '자리나 물건 따위를 차지하다.', '면허나 증명, 허가, 승인, 자격 따위를 얻다.'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냄새를 코로 느끼다.', '어떤 일의 낌새를 눈치채다'의 의미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맡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이번 사건의 반장을 맡은 사람은 김형사다. 2. 도서실의 자리를 맡아 놓..

'금새'와 '금세'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금새'와 '금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새와 금세는 발음도 비슷해서 대중매체에서도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그 뜻을 알면 구분하기 쉬운 단어이기도 합니다. 그럼 어떤 경우에는 '금새'를 쓰고 또 어떤 경우에 '금세'를 쓰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금새'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금새'는 물건의 값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를 나타는 명사입니다. 즉 말 그대로 가격, 시세를 말하는 단어입니다. 그럼 '금새'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요즘 계란의 금새가 너무 높다. 2. 금새도 모르면서 비싸다고 말하지 마세요. 3. 살 물건을 보고 금새를 정한다...

'로서'와 '로써' 올바른 표현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로서'와 '~로써'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말이지만 잘못 알고 있거나 구분하기 어려운 한국어의 조사입니다. 그래서 어떤 경우에 '~로서'를 사용하고 또 어떤 경우에 '~로써'를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로서'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로서'는 자격 격 조사로 '지위와 신분, 자격을 나타낼 때', '어떤 동작이 시작되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그럼 '로서'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나는 부모로서 어깨가 무겁다. 2. 이 문제는 너로서 시작되었다. 3. 그 일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4. 효소는 우리 몸속에서 생체 촉매로서 작용한다. 그럼 '로써'의 의미도 알아보겠습니다. '로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