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장인 204

'늑장'과 '늦장'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인 '늑장'과 '늦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연 올바른 맞춤법으로 작성한 뉴스는 어느 뉴스일까요? 정답은 위 뉴스 모두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했습니다. 먼저 '늑장'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늑장'은 [늑짱]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굴레 늑(勒)'자에 '장사 지낼 장(葬)'자를 사용하는 '늑장'은 '남의 땅이나 남의 동네 근처에 억지로 장사를 지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늑장'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늑장 피울 시간이 없다...

'퍼뜨리다'와 '퍼트리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인 '퍼뜨리다'와 '퍼트리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연 올바른 맞춤법으로 작성한 뉴스는 어느 뉴스일까요? 정답은 위 뉴스 모두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했습니다. 먼저 '퍼뜨리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퍼뜨리다'는 [퍼:뜨리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널리 퍼지게 하다' 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퍼뜨리다'는 '퍼뜨리어', '퍼뜨려', '퍼뜨리니'등의 활용어로 사용됩니다. 그럼 '펴뜨리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녀에 물감을 퍼뜨리는 놀이를 좋아 한다. 2. 사람들에게 유언비어를 퍼뜨리다. ..

'치르다'와 '치루다'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치르다'과 '치루다'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대략 28%정도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치르다'과 '치루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치르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치르다'는 [치르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주어야 할 돈을 내주다.', '무슨 일을 겪어 내다.', '아침, 점심 따위를 먹다.' 의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치르다'는 어간 '치르' 뒤에 어미 '어'가 붙으면 '으 탈락'으로 인해 '치뤄'가 아닌 '치러'로 활용됩니다. 그럼 '치르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

'채신'과 '체신' 올바른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는 발음이 비슷해서 그냥 사용하지만 표기를 할 때는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이 있습니다. '채신'과 '체신'은 네이버 맞춤법 퀴즈에서도 무려 48%나 헷갈려하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인 '채신'과 '체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채신'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채신'은 [채:신]으로 발음되는 명사로 '처신(處身)을 낮잡아 이르는 말' 즉, 세상을 살아가는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을 낮춰서 표현하는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로는 '채신머리', '처신'등이 있습니다. 그럼 '채신'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

2023년 1급, 2급 직업상담사 시험일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직업상담사는 상담 및 직업소개, 직업 관련 검사실시 및 해석, 직업지도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직업상담행정등 업무 등으로 구별 지을 수 있습니다. 주요 상담업무에는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노동관계법규 등 노동시장에서 발생되는 직업과 관련된 법적인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일반상담 실시와 구인·구직상담, 창업상담, 경력 개발상담, 직업 적응상담, 직업전환상담, 은퇴 후 상담 등의 각종 직업상담이 있습니다. 직업상담사은 구직자들이 그들의 교육, 경력, 기술, 자격증, 구직직종, 원하는 임금 등을 포함한 구직표를 정확하게 작성하도록 도와주며 구직표를 제출하면 정확하게 되었는지를 검토하며 필요하면 수정을 합니다. 직업상담사은 구직자들에게 가장 적합한 직업이 무엇인..

2023년 23회 소방시설관리자 시험일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소방시설관리사는 소방시설의 점검 및 정비, 건축물 소방시설 유지관리 및 화기취급 감독 등 방화관리에 관한 사항, 위험물제조소 등의 완공검사·위험물 안전성능시험 및 정기점검에 관한 사항, 건축물 소유자 등이 위탁하는 화재예방을 위한 소방시설 점검업무 등을 주요 업무로 하는 사람입니다. 소방시설관리사는 소방청에서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자격시험입니다. 2023년 23회 소방시설관리사 시험일정 원서접수 시간은 첫날 09시부터 원서접수 마지막 날 18시까지이며 1차 시험 응시료는 18,000원, 2차 시험 응시료는 20,000원입니다. 빈자리 접수는 정기접수 환불로 발생한 수용인원 범위 내에서 선착순으로 접수됩니다. https://www...

'중개'와 '중계'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중 발음도 비슷하고 의미도 비슷해서 더욱 헷갈리는 단어인 '중개'와 '중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중개'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중개'는 [중개]로 발음되는 명사로 '제삼자로서 두 당사자 사이에 서서 일을 주선함.', '국제기구, 국가, 개인 따위의 제삼자가 국제 분쟁을 일으킨 당사국 사이에 끼어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일',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소개', '알선', '주선'등이 있습니다. 그럼 '중개'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부동산 중개 수수료를 지불했다. 2. 올해는 공인중개사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3. 그는 국제 무역상으로 각국의 무역을 ..

'늘이다'와 '늘리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중 발음도 비슷하고 의미도 비슷해서 더욱 헷갈리는 단어인 '늘이다'와 '늘리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늘이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늘이다'는 [느리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아래로 길게 처지게 하다.', '넓게 벌여 놓다', '본디보다 더 길어지게 하다.', '선 따위를 연장하여 계속 긋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늘이다'는 활용형으로 '늘이어', '늘이니', '늘여' 등으로 사용됩니다. 그럼 '늘이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경계망을 늘이다. 2. 고무줄을 길게 늘이니 끊어져 버렸다.. 3. 적이 침투하지 못하게 경비를 더 늘였다. 4. 회장님은 사업을 더욱 ..

'닫치다'와 '닫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 중 발음도 비슷하고 의미도 비슷해서 더욱 헷갈리는 단어인 '닫치다'와 '닫히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닫치다'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닫치다'는 [닫치다]로 발음되는 동사로 '열린 문짝, 뚜껑, 서랍 따위를 꼭꼭 또는 세게 닫다.', '입을 굳게 다물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닫치다'는 '닫-'에 강세 접미사 '-치-'가 결합한 단어로 '닫다'의 힘준말입니다. 그럼 '닫치다'의 예문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그는 화가 나서 문을 탁 닫치고 나갔다. 2. 말을 하고 싶었지만 그만 입을 닫친다. 3. 상황이 불리해지자 입을 닫쳐 버렸다. 4. 화가 나서 서랍을 닫치고 일어났..

2023년 위험물산업기사 시험일정

안녕하세요. 경제적, 시간적 자유를 꿈꾸는 한량입니다. 위험물산업기사는 소방법시행령에 규정된 위험물의 저장, 제조, 취급조에서 위험물을 안전하도록 취급하고 일반작업자를 지시·감독하며, 각 설비 및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실시, 재해발생 시 응급조치 실시 등 위험물에 대한 보안, 감독 업무 수행하고 또한 위험물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제조시설도 대규모화되면서 생활공 간과 가까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위험물을 안전하게 취급 및 관리하는 전문가를 말합니다. 위험물산업기사는 소방청에서 주관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자격시험입니다. 2023년 위험물산업기사 시험일정 원서접수 시간은 첫날 09시부터 원서접수 마지막 날 18시까지이며 필기 시험 응시료는 19,400원, 실기 시험 응시료는 20,800..

반응형